-
브이원씨, 메리츠 손 잡고 ‘벤처대출’ 펀드 3000억으로 키운다
국내 벤처대출 시장의 선구자로 불리는 브이원씨가 메리츠증권과 손잡고 140억원 규모의 사모대출펀드를 결성했다. 내년까지 3000억원 규모의 펀드를 추가 조성할 계획이다. 자본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자금난을 겪고 있는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들에 유동성을 공급하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하는 펀드다.28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최근 브이원씨는 메리츠증권과 공동 운용사(Co-GP)로 국내 금융기관들의 출자를 받아 140억원 규모의 사모대출펀드를 결성했다. 이 펀드는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들의 장래 매출 채권을 할인 매입하고, 자금을 공급한다. 국내에선 처음 시도되는 방식의 중소기업 대상 사모대출펀드다.브이원씨와 메리츠증권이 공동 운용사로 사모대출펀드를 결성한 건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해 결성한 70억원 규모의 1호 펀드는 오는 9월 만기가 돌아온다. 이 펀드를 청산하고 양사는 내년까지 3000억원 규모의 신규 펀드를 본격 조성할 예정이다. 메리츠금융그룹이 벤처대출 시장의 가능성을 보고 앵커 출자자(LP) 역할을 맡기로 했다. 벤처대출은 한국에선 아직 낯설지만 미국 실리콘밸리 등 해외에선 익숙한 금융 상품이다. 유형자산이 없고, 이익을 내지 못하는 스타트업은 일반적인 잣대로 보면 부실기업에 가까워 시중은행 등에서 대출을 받기가 어렵다.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기관의 보증을 받고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시간이 오래 걸려 당장 추가 자금 투입이 급한 곳들엔 효용성이 떨어진다. 벤처캐피탈(VC) 업계에 자금이 마르면서 투자 유치를 받기도 쉽지 않다.브이원씨가 조성한 사모대출펀드는 이런 기업들에 자금을 조달하는 역할을 한다. 미래 현금흐름을 기반
-
오선미 "슈퍼리치 대체자산 비중 올 40%까지 늘어날 것"
“올해 고액 자산가 포트폴리오에서 메자닌펀드(주식 관련 사채), 사모대출펀드(PDF) 등 대체 자산 비중이 20% 수준에서 30~40%로 늘어날 전망입니다.”오선미 삼성증권 SNI패밀리오피스센터1지점 지점장(사진)은 2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시장 변동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국면에는 주식, 채권 등 전통 자산뿐만 아니라 대체 자산까지 다룰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며 “핵심은 자산 배분에 있다”고 말했다.오 지점장은 삼성증권 전체 프라이빗뱅커(PB) 중 상위 4% 이내 역량을 갖춘 마스터 PB 출신으로 서울 역삼동 강남파이낸스센터에 있는 SNI패밀리오피스센터1지점을 총괄하고 있다. 이곳은 삼성증권에 가족 자산 1000억원 이상을 예탁한 초고액 자산가를 전담하는 특별 조직이다.오 지점장은 “최근 고액 자산가 사이에서 사모 대출을 향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며 “사모 대출은 대출이 어려운 기업에 고금리로 자금을 빌려주는 구조로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모 대출의 경우 다양한 산업군으로 섹터를 분배해 위험을 줄이고, 담보가 잘 확보된 사례를 선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리서치 회사 프레킨에 따르면 세계 사모 대출 순자산(AUM)은 2023년 1조6000억달러(약 2300조원)에서 2029년 2조6000억달러(약 3738조원)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메자닌펀드 역시 인기를 끌고 있다. 채권과 주식의 성격을 모두 지닌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등에 투자하는 이 펀드는 이자 수익을 얻는 동시에 시세 차익도 기대할 수 있다. 오 지점장은 “해당 펀드는 통상 3년으로 투자 기간을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rdq
-
해외 사모대출펀드 찾는 자산가…"10% 수익 기대"
최근 고액 자산가들 사이에서 대체투자상품인 해외 사모대출펀드(PDF) 투자가 늘고 있다. 부동산 등 다른 대체투자 시장이 고금리 직격탄을 맞은 상황에서 자산가들이 연 10%대 수익률이 가능한 ‘중위험 중수익 상품’인 해외 PDF를 찾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설명이다.5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최근 고액 자산가들이 삼성 등 일부 대형 증권사의 프라이빗뱅커(PB)를 통해 해외 PDF에 투자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기존엔 증권사·운용사들이 연기금 등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해외 PDF 투자금을 모았지만 올 하반기 들어 이를 개인용 상품으로 내놓기 시작했다는 설명이다.PDF는 운용사가 투자자로부터 모은 자금을 기업 등에 대출하는 펀드다. 기업에 은행 대신 돈을 빌려주는 직접 대출, 기업 간 인수합병(M&A)에 필요한 자금을 대는 인수금융 대출 등을 통해 운용된다.최근 자산가들이 해외 PDF 투자를 늘리는 것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 때문이다. 최근 출시되는 해외 PDF는 연 10~12%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어서다. 미국 기준 금리(연 5.25~5.50%)에 6~7%포인트의 가산금리를 붙이기 때문이다. 경쟁 상품이라고 할 수 있는 미국 하이일드채권 인덱스펀드(연 8.5%), 미국 레버리지론 인덱스펀드(연 8.7%) 등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이다.한 증권사 PB는 “주식 시장 선호도는 아직 낮은 상태에서 연 10%대 수익률이 가능하다는 점이 부각되면서 자산가들이 해외 PDF 투자를 늘리고 있다”고 말했다.PDF는 대출 기반 상품이어서 사모펀드(PEF)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낮은 대신 손실 위험이 적다. 통상 PDF는 은행 대출이 어려운 기업들이 이용한다. 신용등급이 낮지만 성장성이 큰 스타트업, 상장 전 투자
-
은행 대출 위축에…사모대출펀드 시장 급성장
국내 금융권에서 사모대출펀드(PDF) 시장이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1년 펀드 운용 규제를 완화한 뒤 최근 들어 은행권 대출이 위축되자 기업과 부동산 대출시장 등을 파고들고 있다.6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 IMM프라이빗에쿼티(PE)의 크레디트(신용) 부문 계열사 IMM크레딧앤솔루션은 요즘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3000억원 규모의 PDF를 조성하고 있다. 투자 대상을 사전에 정하지 않은 상황에서 투자금을 먼저 모은 뒤 운용사가 투자 대상을 결정하는 블라인드 펀드 방식이다. 연 5~10% 수익을 목표로 기업 대출이나 우량 기업 채권에 투자한다.글랜우드PE 계열사인 글랜우드크레딧도 올 들어 수천억원 규모의 PDF 조성에 나섰다. VIG파트너스 자회사인 VIG얼터너티브크레딧은 지난해 3000억원 규모 블라인드 PDF를 설정했다. 2조원 규모의 블라인드 PEF를 조성 중인 스틱인베스트먼트도 지난해 PDF 본부를 조직했다.글로벌 컨설팅기업 KPMG 등에 따르면 글로벌 PDF 규모는 2013년부터 2023년까지 10년간 매년 13% 안팎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6월 기준 글로벌 PDF의 운용자산(AUM) 규모는 376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4% 늘었다. 중위험·중수익 원하는 '큰손'들, PDF에 뭉칫돈 투자빠른 의사결정 시스템 앞세워…수천억대 블라인드 펀드 조성사모대출펀드(PDF) 시장의 성장은 불확실한 경제 환경, 금융당국의 규제 완화, 기관투자가의 수요 등 ‘3박자’가 맞아떨어진 결과다.우선 불확실한 경제 환경 등으로 은행, 저축은행 등 제도권 금융회사들의 여신 활동이 크게 위축됐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에선 ‘자금줄’이 말랐다는 얘기가 흘러
-
국내 기관투자자들, 美 운용사 메디슨캐피탈펀딩 사모대출펀드에 5000억원 투자
≪이 기사는 06월07일(04:3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기관투자자들이 북미 미드캡(Mid-Cap) 사모대출펀드(PDF)운용사 메디슨캐피탈펀딩(Madison Capital Funding)이 운용하는 PDF에 5000억원 가량을 투자했다. 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최근 공제회, 보험사 등 국내기관 7곳이 KB자산운용을 통해 메디슨캐피탈펀딩이 운용하는 사모대출펀드(PDF)에 4억 6000만(한화 약 5000억원)을 약정했다. 이번 PDF 의 투자기간은 4년으로, 상각전 영업이익이 1000만~5000만 달러 수준인 미국 중견 기업에 대한 선순위담보부 대출을 통해 IRR(내부수익률) 7% 수준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2001년 설립된 메디슨캐피탈펀딩은 시카고 소재 PDF전문 운용사로 미국 3대 생명 보험사인 뉴욕라이프의 100% 자회사다. 미국 중견기업에 대한 선순위담보부 대출이 주력 분야로 총 운용자산(AUM)는 약 115억 달러 수준이다.메디슨캐피탈펀딩은 2017년부터 국내기관들로부터 자금모집을 해왔다. 2020년에는 국민연금의 해외 사모주식부문 위탁운용사로 선정되기도 했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행정공제회 북미·아태 PDF에 2.5억달러 투자
≪이 기사는 09월11일(16: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행정공제회가 북미·아시아태평양 지역 중견중소기업에 사모대출펀드(PDF)를 통해 2억5000만 달러(약 3000억원)를 투자한다. 1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행정공제회는 국내 증권사를 통해 외국 집합투자자로 등록을 완료했거나 등록이 가능한 펀드를 대상으로 북미·아시아태평양 PDF 운용사 제안을 오는 26일까지 받는다. 행정공제회는 미국 4개, 아시아·태평양 1개 등 총 5개의 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출자금액은 총 2억 5000만 달러로 운용사별로 5000만 달러씩 출자가 이뤄진다. 10월 셋째주에 프리젠테이션을 실시하고, 11월 초에 운용사를 선정할 계획이다.사모대출펀드는 지분(Equity)에 투자하는 사모투자펀드(PEF)와 달리 부채(Debt)에 투자하는 것이 특징이다.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자금이 필요한 우량 기업을 발굴해 대출 투자로 돈을 빌려준 뒤 이자를 통해 고정적인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다. PEF에 비해 수익률은 낮지만 선순위담보대출을 통해 리스크가 낮다.행정공제회는 2016년부터 꾸준히 1억 달러 이상씩을 미국 및 유럽 지역의 PDF에 투자해왔다.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
-
"글로벌 침체 2년내 온다…사모대출펀드 투자로 '손실 방어' 나서라"
“기업 부도율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지만, 앞으로도 이런 상황이 지속되기는 어렵습니다. 지금은 경기 하강기에도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는 사모대출에 투자할 시기입니다.”(레미 그레시 MV크레디트 전무)‘ASK 2019 글로벌 사모·헤지펀드·멀티애셋 투자 서밋’ 첫날 행사에 참여한 글로벌 대체투자 분야 고수들은 위험이 상대적으로 낮고 일반 채권투자에 비해 수익률이 높은 사모대출펀드와 소비자대출채권 등을 유망 투자처로 꼽았다. 일반적인 회사채 투자에 비해 초과수익(+)을 낼 수 있는 데다 조만간 도래할 경기 하강 국면에 대처할 수 있어서다.사모대출펀드 및 소비자대출채권 투자는 국내 투자자에겐 아직 생소하다. 대출은 은행의 영역이라는 인식도 강하다. 하지만 글로벌 트렌드는 빠르게 바뀌고 있다. S&P캐피털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 여신 가운데 은행대출 비중은 1996년까지만 해도 60% 이상이었지만 작년에는 10% 미만으로 급감했다. 은행들은 자본 규제가 강화되면서 대출보다 각종 금융서비스로 수수료 수입을 얻는 데 치중하고 있다. 그 빈자리를 메운 것이 사모펀드(PEF) 등이다.참가자들은 높은 수익률을 추구하기보다 경기 침체에 대비할 수 있는 투자전략을 짜야 할 시기라고 입을 모았다. 미·중 무역갈등이 격화하면서 세계 경기가 언제라도 침체의 늪에 빠져들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 때문이다. 채권투자로 유명한 핌코의 넬슨 유안 대체전략담당 전무는 “가까운 미래에 경기가 침체되고 기업 대출시장이 조정을 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그레시 전무도 “앞으로 2년 내 경기 침체가 올 것”이라며 “중공업·유통·패션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