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시스코, AI·보안기업으로 변신…2년간 인수한 스타트업만 7곳

    시스코, AI·보안기업으로 변신…2년간 인수한 스타트업만 7곳

    세계 최대 네트워크 장비 회사인 시스코가 인공지능(AI)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다. 최근 2년간 AI와 보안 기업 7곳을 사들이며 비즈니스 모델을 바꾸고 있다.11일 업계에 따르면 시스코는 지난달 말 AI 보안 플랫폼을 운영하는 스타트업 ‘로버스트인텔리전스’ 인수를 결정했다. 이르면 6개월, 늦어도 1년 이내에 인수 절차를 마무리하는 것이 시스코의 목표다.로버스트인텔리전스는 AI 모델에서 발생하는 보안 문제를 잡아내고 관리하는 기술을 갖춘 기업이다. 시스코는 이 업체가 보유한 기술을 시스코 시큐리티 클라우드에 접목할 계획이다. 지난해 인수한 아머블록스(AI 이메일 보안), 스플렁크(보안), 오르트(보안) 등에서 얻은 기술도 함께 활용하기로 했다.이 회사가 AI 보안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것은 지난해 9월부터다. 데이터 보안 플랫폼 기업 스플렁크를 280억달러(약 37조원)에 인수하며 비즈니스 모델을 대대적으로 수정하기 시작했다. 시스코 관계자는 “기존 네트워크 장비 사업만으론 새로운 부가가치를 만들어내기 힘들다”며 “AI로 예상하지 못한 공격까지 잡아내는 사업뿐 아니라 AI 활용 때 발생하는 보안 문제를 줄여주는 사업도 주목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시스코는 지난 6월 게리 스틸 스플렁크 최고경영자(CEO)를 시스코 글로벌세일즈 전체 총괄로 임명했다. AI 보안 사업을 회사의 핵심 축으로 삼겠다는 의지가 드러나는 인사다. 제품군에서도 변화가 읽힌다. 올 1분기엔 AI가 기업의 웹, 이메일, 네트워크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약점을 보완해주는 솔루션인 ‘보안 AI 어시스턴트(조수)’를 선보였다.시스코 관계자는 “아직은 매출 대부분을

  • "매출 연평균 400% 성장"…AI업종 최고 기대주는

    제약사 바이옥셀테라퓨틱스(이하 바이옥셀), 라이다(LiDAR) 개발업체 루미나테크놀로지, 반도체 기업 SK하이닉스 등이 2025년까지 급성장할 인공지능(AI) 관련 기업으로 꼽혔다. AI 상장지수펀드(ETF)에 편입된 종목들의 매출 증가율 전망치 기준이다.투자 전문매체 마켓워치는 17일(현지시간) 금융정보업체 팩트셋 자료를 바탕으로 2025년까지 매출이 많이 늘어날 AI 기업들을 선정했다. AI 관련 ETF 5개에 편입된 96개 종목 중 연평균 매출 증가율 전망치가 높은 기업들이다.AI를 이용해 의약품을 개발하는 바이옥셀이 대표 기대주로 꼽혔다. 시장에서는 바이옥셀 매출이 연평균 411% 증가해 현재 500만달러에서 2024년엔 3900만달러, 2025년엔 1억2100만달러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연평균 매출 증가율 전망치가 161%인 루미나테크놀로지가 그 뒤를 이었다. 루미나테크놀로지는 자율주행차의 눈 역할을 하는 라이다 및 응용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기업이다.블랙베리(67.6%), 크레도테크놀로지그룹(40.9%), 센티널원(37.9%), 울프스피드(37.6%)도 이름을 올렸다. 블랙베리는 휴대폰 제조사에서 인터넷 보안 소프트웨어 개발사로 탈바꿈했다. 크레도테크놀로지그룹은 대형 데이터센터용 칩을 개발하는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회사)다. 센티널원은 AI 기반 보안 소프트웨어, 울프스피드는 차량용 전력반도체 대표주자로 꼽힌다.한국의 SK하이닉스는 7위를 차지했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HBM(고대역폭 메모리)을 양산하며 주목받았다. 챗GPT 구동에 쓰이는 엔비디아의 A100 그래픽처리장치(GPU)에 SK하이닉스의 HBM3가 들어간다. 벤 스나이더 골드만삭스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10년 동안 AI가 생산성을 매년 1.5% 향상하

  • "매출 매년 400% 뛴다"…월가 선정 '20대 AI 기대주'

    "매출 매년 400% 뛴다"…월가 선정 '20대 AI 기대주'

     제약사인 바이옥셀테라퓨틱스(이하 바이옥셀), 라이다 개발업체인 루미나테크놀로지, 반도체 제조사인 SK하이닉스 등이 향후 3년 간 가장 빠르게 성장할 AI(인공지능) 관련 기업으로 꼽혔다. AI 상장지수펀드(ETF) 종목들의 월가 성장률 전망치를 집계한 결과다.  "바이옥셀 매출 연평균 411% 오를 것"마켓워치는 17일(현지시간) 시장조사업체인 팩트셋의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까지 가장 빠르게 매출이 늘어날 20개 AI 기업을 선정했다. AI 산업 관련 5개 ETF에 포함된 96개 종목 중에서 연평균성장률 전망치가 가장 높은 기업들이다. 전망이 가장 밝은 기업으로는 AI를 이용해 의약품을 개발하는 바이옥셀이 꼽혔다. 현재 500만달러인 매출이 연 평균 411% 증가해 2024년 3900만달러, 2025년 1억2100만달러로 뛸 것으로 애널리스트들은 전망했다.  바이옥셀은 과거 데이터를 인공지능으로 분석, 과거 검증된 제품의 새로운 적응증(특정 약물이나 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생각되는 질환이나 증세)을 찾아 개발하고 있다. 주력 제품은 정신분열증이나 양극성 장애 등을 치료하기 위해 혀 밑에 붙이는 필름인 아이갤미(IGAMLI)다. 최근에는 항우울제와 알츠하이머와 관련된 임상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루미나테크놀로지가 161%의 연평균성장률 전망치로 2위를 기록했다. 2012년 창립된 루미나테크놀로지는 라이다(LiDAR) 및 응용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다. 라이다는 자율주행차량의 눈 역할을 하는 만큼 자율주행기술 발달과 함께 높은 성장성을 보일 것으로 기대된다. 루미나테크놀로지의 CEO인 오스틴 러셀(28)은 17세에 회사를 창업해 '최연소 억만장자' 기록을 세

  • ADT캡스 새 이름 'SK 쉴더스'

    INVESTOR

    ADT캡스 새 이름 'SK 쉴더스'

    보안 기업 ADT캡스가 사명을 ‘SK쉴더스(SK shieldus)’로 바꾸고 라이프 케어 플랫폼 기업으로 변신을 도모한다.ADT캡스는 26일 온라인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비전을 공개했다. 새 사명 SK쉴더스는 ‘보호하다(shiled)’와 ‘우리(us)’의 합성어로 사회 구성원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앞세워 ‘일상의 안심-사회의 안전-내일의 지속 가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라이프 케어 기업으로 도약한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박진효 SK쉴더스 대표(사진)는 “SK의 새 가족이 된 지 3년 만에 2배 이상 매출을 기록하며 창사 이래 최고 성장을 달성했다”며 “라이프 케어 기업으로 진화해 2025년까지 신성장 사업 매출을 5배 이상으로 늘리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기존 물리보안과 함께 사이버보안, 융합보안, 안전 및 케어 등 4대 사업을 중점 육성하겠다는 얘기다. 올해 기준 회사 전체 매출의 42%를 차지하는 4대 핵심 사업 비중을 2025년 60%로 키운다는 구상이다.이를 위해 4대 사업에 인공지능(AI), 디지털 전환, 클라우드, 퀀텀 등 빅테크 역량을 전방위 접목할 계획이다. AI의 경우 관제플랫폼은 물론 홈보안 등 모든 서비스에 기본 적용한다. 글로벌 클라우드 기업 인수합병(M&A)도 추진하고 있다.SK쉴더스는 자체 개발한 지능형 융합보안 플랫폼 ‘써미츠(SUMiTS)’도 선보였다. 복잡하고 다양한 내·외부 위협을 빠르게 탐지하고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박진효 대표는 “대한민국을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고 편안한 나라로 만든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

  • [마켓인사이트]"상장 통해 신뢰 받는 보안기업 되겠다" 배환국 소프트캠프 대표

    [마켓인사이트]"상장 통해 신뢰 받는 보안기업 되겠다" 배환국 소프트캠프 대표

    “코스닥시장 상장을 통해 시장에서 신뢰받는 보안기업이 되고자 합니다.” 코스닥 상장을 앞둔 문서보안솔루션 기업 소프트캠프의 배환국 대표이사(사진)는 4일 서울 여의도에서 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코넥스 상장사인 소프트캠프는 KB제11호스팩과 합병해 다음달 30일 코스닥에 상장할 예정이다. KB제11호스팩과 소프트캠프의 합병 비율은 4.13대 1이다. 소프트캠프는 1999년에 설립된 문서보안솔루션 업체로 2014년 12월에 코넥스에 상장했다. 대형 기업이나 공공기관, 금융기관에 필요한 문서 및 운영체제 보안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 문서보안솔루션은 특정 문서를 사내에서만 열람하고 외부에선 열어 볼 수 없게 하거나, 직급에 따라 공개 범위가 달라지는 등의 기능을 한다. 배 대표는 “국내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의 기업집단 중 53%가 우리 회사 고객사”라고 강조했다. 국내 경쟁사로는 코스닥 상장사인 파수닷컴 등이 있다. 소프트캠프는 2017년 흑자전환했고 지난해엔 매출 171억원에 영업이익 27억원을 냈다.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15.9%다. 올 상반기 영업이익은 1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2억원)에 비해 9배 이상 늘어났다. 배 대표는 “내년엔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7 지원이 종료되는 해여서 윈도10으로 사내 시스템을 바꾸는 기업이 늘어날 것”이라며 “이에 대응하는 매출도 크게 증가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소프트캠프는 신사업으로 CDR사업(파일 무해화)과 공급망 보안사업, 클라우드 서비스 등을 계획 중이다. 합병후 소프트캠프의 예상시가총액은 472억원이다. 최대주주 등이 보유한 지분 22.47%와 벤처캐피털이 보유한 8.91%는 상장 후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