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 PER 일년새 반토막…중국·대만·태국보다 싸다
코스피시장이 선진국은 물론, 중국·대만·태국 등 신흥시장보다도 저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들의 이익은 큰 폭으로 증가한 데 반해 주가 하락이 이어지면서 주가수익비율(PER)이 반토막 났기 때문이다.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200의 PER은 9.8배로 작년(24.1배) 대비 크게 쪼그라들었다. 지난해 4분기 재무제표와 지난 2일 종가를 기준으로 산출한 수치다. 코스피200의 PBR 역시 작년 1.3배 대비 하락한 1배를 기록했다. 코스피시장 전체로 봐도 PER은 작년 26배에서 11.1배로 주저앉았고, PBR 역시 1.3배에서 1.1배로 각각 하락했다.선진국 뿐만 아니라 신흥국 주요국가와 비교해도 한국 주식시장의 저평가는 현저했다. 코스피200과 비교해 볼 때 선진국 23개국의 평균 PER은 18.4배로 한국의 두 배에 가까웠고, 신흥국 24개국 평균 PER 12.3배보다도 한국이 뒤쳐지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신흥국 중에서는 브라질(6.9배)을 제외하면 중국, 대만, 인도, 태국 등 주요 신흥국보다도 한국의 저평가 정도가 심했다. 작년만 하더라도 한국(24.1배)은 신흥국 26개 평균 PER(21.5배)보다 고평가 받았었고, 중국(19.4배)이나 브라질(18.9배), 대만(23배)보다도 PER이 높았다.대표종목 삼성전자의 저평가도 눈에 띄었다. 현재 삼성전자의 PER은 11.65배로, 작년 21.22배에 비해 큰 폭으로 낮아졌다. 지난해 4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43.45% 증가한 51조6339억원을 기록했지만, 최근 1년새 주가는 약 17% 내렸기 때문이다. 글로벌 경쟁자와 비교했을 때에도 크게 저평가당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PER은 대만 TSMC(21.51배)나 미국 엔비디아(50.74배)와 AMD(34.96배)보다도 현저히 낮다.한국시장의 배당수익률도 신흥국 24개국
-
“리츠 성장기 이제 시작… 은행 대체할 상품 속속 선보일 것”
≪이 기사는 07월20일(05:2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리츠(REITs·부동산투자회사) 시장의 성장기는 이제 막 시작됐습니다. 은행 예‧적금을 대체할 중위험‧중수익 리츠 상품을 적극적으로 선보일 계획입니다.”안병래 KB증권 대체금융본부장(사진)은 20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초저금리 시대를 맞아 갈 곳을 잃은 부동자금이 대기 중인 지금 개인투자자가 은행을 대체할 투자수단으로 리츠만큼 적당한 게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KB증권은 지난해 11월 부동산금융과 대체투자를 담당하는 IB2총괄본부에 리츠 전담부서를 신설했다. 앞으로 리츠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보고 관련 사업에 힘을 싣고 있다. 안 본부장은 “초저금리와 함께 저성장‧저물가 현상이 지속되면서 기관투자가가 독점해온 부동산 간접투자 기회가 개인들한테도 열리기 시작했다”며 “정부도 세제 혜택 등 지원방안을 적극적으로 내놓고 있어 리츠시장이 더욱 활기를 띨 것”이라고 설명했다.공모 리츠의 자산도 갈수록 다양해질 것으로 내다봤다. 지금까지 등장한 공모리츠는 상업시설과 사무용빌딩 정도였지만 올 하반기엔 호텔, 주유소, 물류센터 등 기존과 다른 자산을 담은 리츠가 상장될 예정이다. 그는 “개인들이 접근하기 쉬워지면서 중장기적으로는 에너지설비, 도로, 항만 등 인프라를 자산으로 한 리츠도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며 “정부가 영업인가 과정에서 어떤 기준을 적용할지 등 제도만 정비한다면 충분히 공모시장에서 통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KB증권은 이 같은 변화과정에서 개인이 믿을 수 있는 안정적인 리
-
[마켓인사이트] 유진투자증권, 폴란드 바르샤바 빌딩 700억에 인수
▶마켓인사이트 1월 3일 오전 5시유진투자증권이 제이알투자운용과 함께 폴란드 바르샤바의 대형 오피스 빌딩을 매입했다. 유진투자증권의 첫 유럽 부동산 투자 시장 진출이다.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유진투자증권과 제이알투자운용은 독일 자산운용사 패트리지아로부터 바르샤바 중심가의 페닉스(FENIKS)빌딩을 약 700억원에 인수했다. 매입 자금은 유진투자증권이 제이알투자운용에 돈을 대 설정한 부동산펀드 및 현지 은행 대출로 마련했다.페닉스빌딩은 2012년 지어진 건물로 총 임대면적은 1만㎡에 달한다. 폴란드 BOS은행이 오피스 부분 전체를 임대하고 있고, 1층 상가에 슈퍼마켓, 약국, 커피숍 등이 입주해 있다. BOS은행은 정부 환경보호재단이 운영하는 특수은행이다.유진투자증권은 유럽 첫 진출을 위해 제이알투자운용을 파트너로 선택했다. 제이알투자운용은 작년 7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준공 전 건물인 ‘노르딕 라이트 트리오’를 매입하는 등 동유럽 시장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동유럽 시장은 서유럽 대도시에 비해 안정성은 떨어지지만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것이 장점으로 평가된다. 유진투자증권은 환헤지(환율 위험 방어·유로화 스와프) 기준으로 이번 투자를 통해 연 8.6%의 수익률을 기대하고 있다. 유진투자증권은 페닉스빌딩 투자 지분을 국내 기관투자가에 재매각(셀다운)할 것으로 알려졌다.이현일 기자 hiuneal@hankyung.com
-
"적자나도 고배당 달라니" 상장사들, 무리한 주주제안에 '속앓이'
올해 일반주주들이 상장사에 주주제안으로 요구한 배당금이 7조1394억원(유상감자 등 포함)으로 나타났다. 이들 상장사 당기순이익의 두배가량이다. 적자를 낸 상장사에도 적잖은 배당을 요구하는 등 일부 주주들의 요구가 도를 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들어 이날까지 나온 상장법인(12월 결산) 정기 주총 공시 결과 상장사 16개사가 배당(주식배당 제외)유상감자 관련 주주제안을 주주총회 안건으로 올렸다. 이들 상장사가 요구받은 배당 총액은 7조1394억원이다. 회사가 제시한 배당금(1조283억원)에 비해 7배가량 많은 것은 물론 지난해 당기순이익 합계(3조7582억원)와 비교해도 2배에 달하는 액수다. 이들 상장사 가운데 한솔홀딩스 한일철강 이니텍의 경우 지난해 당기순손실을 냈다. 한솔홀딩스 소액주주는 12일 종가(4925원)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가격(1만1000원)에 주식 136억원어치를 사들여 소각하라고 제안했다. 또 지난해 말 순현금(현금성자산에서 차입금을 제외한 항목·218억원)의 상당액을 주주환원에 쓰라고 요구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당기순손실 321억원을 기록했다. 한솔홀딩스 관계자는 “회사의 안정적 투자재원이 유출되면서 장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