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메리츠제1호스팩, 상장예심 재청구…주주 바꿔 재도전

    메리츠제1호스팩, 상장예심 재청구…주주 바꿔 재도전

    메리츠증권의 첫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인 메리츠제1호스팩가 상장 예비 심사를 다시 청구했다. 지난 7월 심사를 청구했다가 이달 초 자진 철회한 지 불과 며칠 만이다. 최대주주가 변경된 점이 이번 재청구의 핵심 변화로 꼽힌다.1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메리츠제1호스팩은 이날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신청했다.지난 7월 30일 처음 상장 예비심사를 신청했으나 이달 초 거래소 심사 도중 철회했다. 거래소는 통상 일반 IPO 기업과 달리 재무 안정성보다는 스팩의 주주 구성과 지배구조 등을 주요 심사 항목으로 본다.스팩은 기업 인수합병(M&A)을 유일한 목적으로 삼는 명목상 회사다. 증권사가 설립하지만 증권사는 스팩 전환사채(CB)만 보유하고, 나머지 발기인들이 재무적 투자자(FI)으로 참여해 최대주주에 오르는 형태가 일반적이다. 증권사가 스팩 지분의 5% 이상을 직접 보유하면 금산분리 원칙에 위배되기 때문이다.이번 재청구 과정에서는 주요 발기인이자 최대주주 구성이 바뀌었다. 앞서 메리츠제1호스팩의 최대주주는 네오영이었다. 네오영은 최규옥 오스템임플란트 회장의 아들 최인국 씨가 최대주주로 있는 회사다.새로 제출된 예비심사서류에는 최대주주가 유한회사 그린노아로 변경됐다. 김태엽 어펄마캐피탈 대표가 대표를 맡고 있는 곳이다.IB 업계에서는 스팩 주주 구성이 상장 적격성 판단의 주요 요건 중 하나인 만큼, 거래소의 상장 심사 진행 중 의견을 반영해 주주 구성을 정비한 것으로 보고 있다.최근 들어 스팩이 거래소 상장 문턱을 넘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2023년까지만 해도 스팩 예비심사 철회는 연간 1건 수준에 그쳤지만, 2024년에는 2건, 올해

  • 메리츠증권, 1호 스팩 예심 청구…IPO 주관업무 '물꼬'

    메리츠증권, 1호 스팩 예심 청구…IPO 주관업무 '물꼬'

    메리츠증권이 본격적으로 기업공개(IPO) 시장에 첫 발을 내디딘다. 스팩(SPAC, 기업인수목적회사)을 시작으로 경쟁력을 갖춰가겠다는 목표다.메리츠제1호스팩은 이날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 심사 청구서를 제출했다. 공모규모는 110억원으로 일반적인 스팩 규모다.이번 스팩은 메리츠증권이 대표 주관사로 참여하는 첫 IPO다. 과거 스팩 등에 주주사 등으로 참여한 적만 있었다. 올해 기업금융본부 내 IPO 업무를 전담하는 ECM 조직를 재정비한 이후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한 것이다. 올해 4월 합류한 이경수 ECM담당 상무가 조직을 이끌고 있다.스팩(SPAC·기업인수목적회사)은 상장 이후 일정 기간 내에 비상장 기업을 인수합병(합병상장)하는 방식으로 상장시키는 통로다. 스팩은 일반 IPO에 비해 리스크가 낮고 상장 일정이 비교적 빨라 리스크가 적은 수단으로 여겨진다. 메리츠증권은 이를 활용해 주관실적 물꼬를 튼 뒤, 이를 시작으로 인수회사, 공동 주관사, 대표 주관사로 점차 입지를 넓히겠다는 전략이다. 연내 두 번째 스팩인 ‘메리츠제2호스팩’도 상장 준비에 착수할 예정이다.IPO 업무를 위한 전산 시스템도 오는 9월까지 구축을 완료한다. 현재 ECM 조직은 6명 규모이며 향후 IPO 건수에 따라 인력도 단계적으로 확충할 방침이다.이번 스팩은 단순히 주관실적 확보라는 의미를 넘어 메리츠증권이 최근 구축한 리테일 고객 기반을 활용하는 첫 시도라는 평가도 나온다.메리츠증권는 지난해 말부터 ‘슈퍼365’ 계좌를 중심으로 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진행해 고객 자산을 대폭 늘렸다. 2023년 11월 이후 슈퍼365 예탁자산은 약 7조원 이상 증가했다. 해당 고객들의 공모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