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영토 넓히는 KT, 리벨리온에 투자
KT가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인 리벨리온에 300억원을 투자한다. AI 관련 하드웨어·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제공하는 ‘AI 풀 스택’ 사업자로 도약하는 것이 KT의 목표다.KT는 AI 반도체 팹리스(설계) 회사인 리벨리온에 300억원을 투자하고 사업 협력에 나선다고 6일 발표했다. 2020년 설립된 리벨리온은 주문형 반도체(ASIC) 설계 분야에서 경쟁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는 업체다. 지금까지 카카오벤처스와 신한캐피탈 등으로부터 1000억원 규모의 투자를 받았다.KT가 AI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해엔 국내 AI 인프라 솔루션 전문 기업 모레에 투자했다. KT는 리벨리온, 모레와 함께 차세대 AI 반도체 설계와 검증, 대용량 언어모델 협업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KT그룹의 AI 인프라·응용 서비스와 모레의 AI 반도체 구동 소프트웨어, 리벨리온의 AI 반도체 역량을 융합해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천 장 규모의 ‘GPU팜’을 연내 구축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GPU팜에 자체 개발한 AI 반도체를 접목한다.KT는 우선 AI 알고리즘 연산에 최적화된 신경망처리장치(NPU)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KT의 모빌리티, 금융 디지털전환(DX)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하고, 국내 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해외 판로도 확보할 방침이다. 회사 관계자는 “국내 주요 기업과 AI 스타트업, 대학 등에 저렴하고 성능 높은 AI 인프라를 제공해 국가 AI 생태계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승우 기자
-
설립 2년 만에 몸값 3500억원 된 K팹리스 스타트업[VC브리핑]
벤처캐피털(VC) 및 스타트업 정보업체인 The VC와 함께 지난주 VC 투자 현황을 요약 정리해드립니다. '오늘'의 투자에서 '내일'의 아이디어를 얻으시기 바랍니다. K-팹리스 강자 리벨리온, 설립 2년 만에 몸값 3500억원인공지능(AI) 기반 팹리스 스타트업 리벨리온이 62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싱가포르 국부펀드인 테마섹 산하 파빌리온캐피털을 비롯해 산업은행, 미래에셋벤처투자, SV인베스트먼트, IMM인베스트먼트, KB인베스트먼트, KT인베스트먼트 등이 투자에 참여했습니다. 설립 2년 만에 기업가치 3500억원을 인정받게 됐습니다.리벨리온은 인텔과 삼성, 스페이스X 등에서 일한 박성현 대표가 이끌고 있습니다. 지난해 10월엔 퀄컴 부사장 출신의 이태원 이사를 영입하기도 했습니다. 반도체 산업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AI 분야의 최정상 인력들이 뭉친 팀이라는 평가입니다. 이번 투자로 반도체 칩을 생산하는 한편 미국에 사무소도 설립할 계획이라고 하네요. '계속되는 비대면 진료 열풍' 닥터나우, 400억 투자 유치로 몸값 2000억원원격의료 플랫폼 닥터나우가 40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습니다. 소프트뱅크벤처스, 새한창업투자, 해시드, 크릿벤처스, 프라이머사제파트너스, 미래에셋캐피탈, 스마트스터디벤처스 등이 투자에 참여했는데요. 이 과정에서 기업가치는 2000억원대로 평가됐습니다..닥터나우는 2020년말 서비스 론칭 이후 누적 앱 이용자 560만 명, 다운로드 수는 300만 건을 기록 중입니다. 동네 병의원과 약국 중심으로 1500여 곳의 제휴 의료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원격진료, 처방약 배달 등 의료 서비스 제공하고 있습니다. '커머스
-
AI 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 620억 규모 시리즈A 유치 성공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팹리스) 스타트업인 리벨리온이 62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설립한 지 2년도 채 되지 않아 예비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사) 대열에 이름을 올리게 됐다.3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리벨리온은 KDB산업은행과 벤처캐피털(VC) IMM인베스트먼트, SV인베스트먼트, 미래에셋벤처투자 등으로부터 총 620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투자사들은 이날 입금을 완료할 예정이다.이번 투자는 145억원 규모의 프리A 시리즈 투자를 받은지 약 11개월 만에 이뤄졌다. 이번 투자로 리벨리온은 약 3500억원 규모로 기업가치를 평가받게 됐다. 지난해 7월 프리A 시리즈 투자 때(1100억원)보다 3배 이상 높아진 것이다.IB업계 관계자는 "리벨리온이 설계한 AI반도체의 기술 경쟁력이 높다고 평가한 것"이라며 "향후 성장성이 크다는 기대감도 기업가치에 반영됐다"고 설명했다.박성현 대표가 2020년 9월에 설립한 리벨리온은 박 대표를 비롯해 구성원 모두가 국내외 반도체 회사에서 근무했던 경력을 갖고 있다. 박 대표는 인텔, 삼성, 스페이스X 등에서 반도체 전문성을 키웠다. 신생 회사지만 지난해 11월 AI반도체 '아이온'을 선보여 화제가 됐다. 아이온은 인텔의 '고야'보다 처리 속도가 30%가량 빠르고 전력 소비 효율은 2배 이상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리벨리온은 시리즈A 투자금을 연구개발(R&D)에 활용할 계획이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딜리뷰] 한 고비 넘긴 쌍용차, 안전하게 달릴 수 있을까?
재매각에 돌입한 쌍용자동차가 1단계를 넘어섰습니다. 비공개 입찰을 통해 회생 인수합병(M&A)의 우선매수권자(호스)를 KG그룹 컨소시엄으로 선정한 건데요, 그 배경은 무엇이고 앞으로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왜 경쟁사였던 광림 컨소시엄은 ‘입찰 담합’이라고 주장하는지 들여다봤습니다. 롯데그룹의 글로벌 제약사 공장 인수, 역전할머니맥주의 성공 스토리 등 지난 2주 간의 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1. "한 번 깨진 딜, 핵심은 자금력"서울회생법원이 지난 13일 쌍용차의 우선 매수권자로 KG그룹 컨소시엄을 선정한 배경은 확실성을 꼽을 수 있습니다. KG그룹은 캑터스프라이빗에쿼티(PE), 파빌리온프라이빗에쿼티(PE)와 함께 컨소시엄을 꾸려 자금력 면에서 후보들 중 가장 유리하다는 평가를 받아왔죠. 쌍용차 딜이 한 번 깨진 뒤 다시 진행되고 있는 만큼 확실하게 딜을 완료할 수 있는 후보, 자금력이 입증된 후보를 우선 매수권자로 선정해야 한다는 데 모두가 뜻을 같이 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투자은행(IB)업계에선 쌍용차를 인수하는 데 최소 1조원 이상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수자가 갚아야 할 쌍용차의 부채는 일반 회생채권 5470억원과 공익채권 3900억원 등 부채만 약 9370억원에 달합니다. 부채와 운영자금을 고려하면 최소 1조원에서 대략 1조5000억원까지 필요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IB업계 관계자는 "지난번 쌍용차의 우선협상대상자였던 에디슨모터스 컨소시엄이 너무 적은 인수금액을 적어낸 데다 회생채권 변제율도 낮았기 때문에 이번엔 쌍용차 측이 확실한 자금력을 최우선으로 한 것으로 안다"며 "빠르게 딜이 진행되기 위해선 돈
-
신생 'AI반도체' 리벨리온, 1년 만에 몸값 3배 '껑충'
국내 인공지능(AI) 반도체 설계(팹리스) 스타트업인 리벨리온이 600억원 이상 규모의 시리즈A 투자금을 유치한다. 리벨리온은 설립 1년8개월 만에 3000억원 이상 수준 몸값을 평가받으면서 예비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기업) 반열에 오르게 됐다.1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리벨리온은 현재 600억원 이상 규모의 시리즈A 투자금 유치 작업을 마무리 단계에 있다. 이번 투자에는 국내 벤처캐피탈(VC)인 IMM인베스트먼트, SV인베스트먼트 중심으로 미래에셋벤처투자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한다. 이번 투자 유치는 지난해 7월 145억원 규모의 프리A 시리즈 투자를 받은 지 약 10개월 만이다. 회사의 누적 투자 유치금은 1000억원 가까이 육박하게 됐다. 기존 투자자로는 카카오벤처스와 신한캐피탈, 지유투자 등이 있다.리벨리온은 인텔, 삼성, 스페이스X에서 반도체 분야에서 경험을 쌓은 박성현 대표가 2020년 9월에 설립한 신생 기업이다. 구성원 모두가 IBM, ARM, 인텔 등 국내외 반도체 회사에서 일한 엔지니어 출신들이다. 리벨리온의 투자 후 기업가치는 3500억원 이상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지난해 7월 투자 유치 당시 기업가치 1100억원 수준 보다 3배 이상 뛰었다. 회사가 설립된 지 2년도 채 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빠른 속도의 성장세다. 이러한 몸값에는 리벨리온이 설계한 AI반도체 ‘아이온(ION)에 대한 경쟁력과 향후 시스템 반도체 시장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리벨리온은 지난해 11월 회사가 설립된지 불과 1년 3개월 만에 아이온을 선보였다. 아이온은 인텔의 ’고야‘보다 처리 속도가 30% 빠르고, 전력 소비 효율은 배 이상 높
-
한우 브랜드에 160억원 베팅... VC 입맛 사로잡는 푸드테크 [VC브리핑]
회사명 (서비스명) 사업영역 및 특징 규모(원) 시리즈 투자자 천랩(CLcommunity) 생물정보 분석 소프트웨어 982.0억 M&A 씨제이제일제당 비피도(지근억비피더스프리미엄) 프로바이오틱스 성인용 건강기능식품 600.0억 M&A 아미코젠 펫프렌즈(펫프렌즈) 반려동물 쇼핑몰 비공개 M&A 아이엠엠프라이빗에쿼티 등 학생독립만세(학생독립만세) 소득 공유 후불제 방식의 직무 교육 중개 서비스 비공개 M&A 코드스테이츠 트릿지(트릿지) 식품 산업 전문 글로벌 소싱 플랫폼 693.0억 series C 포레스트파트너스 뱅크샐러드(뱅크샐러드) 통합 자산관리, 자동 가계부 400.0억 series D 에스케이에스프라이빗에쿼티 등 만나코퍼레이션(만나포스) 주문접수, 매출관리, 세금계산, 배달요청 등을 한 번에 해결하는 원스톱 솔루션 350.0억 series B 다날 스카이테라퓨틱스(황반변성 치료제) 약물의 세포 침투력을 높인 습성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제 314.0억 series B 포워드에퀴티파트너스 등 루닛(루닛인사이트) 딥러닝기반 의료 영상 진단 서비스 300.0억 series D 가던트헬스 설로인(설로인) 프리미엄 육류 전문 생산/유통 160.0억 series B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등 리벨리온(AI 반도체) 인공지능 모델 학습과 모델을 통한 추론에 최적화된 시스템 반도체 145.0억 pre-A 케이씨에이파트너스 등 노보렉스(표적 저분자 치료제) AI기반 신약 개발 전 과정을 고려한 효율적인 GPCR 표적 저분자 신약 개발 105.0억 series A 비엔에이치인베스트먼트 등 에스피메드(약물유전자검사서비스) 약의 작용과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