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中 상장 항공사 8곳, 올 누적적자 21조원

    中 상장 항공사 8곳, 올 누적적자 21조원

    중국 대형 항공사 여덟 곳의 올 3분기 누적 적자가 1000억위안이 넘은 것으로 집계됐다. 매일 3억8800만위안(약 757억원)의 현금을 태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제일재경일보는 상장 항공사 여덟 곳의 3분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누적 적자가 1060억위안(약 21조원)으로 집계됐다고 31일 보도했다. 손실 규모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두 배로 커졌다. ‘제로 코로나’ 방역을 3년 가까이 유지해 여행 수요가 급감한 데다 올해는 국제 유가까지 급등해 이중고에 직면했다는 분석이다.중국 3대 항공사인 중국항공과 남방항공은 각각 281억위안, 동방항공은 175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작년 같은 기간 유일하게 흑자이던 춘추항공도 적자로 전환했다. 항공사들의 재무상태가 악화하면서 채무를 제때 상환하지 못하는 디폴트도 속출했다. 지난해 다섯 곳에 이어 올해도 네 곳이 디폴트를 냈다. 중국 당국은 실적이 악화한 항공사들에 50억위안(약 1조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베이징=강현우 특파원

  • 중국 상장 항공사 8곳, 3분기까지 누적 적자 21조 [강현우의 중국주식 분석]

    중국 상장 항공사 8곳, 3분기까지 누적 적자 21조 [강현우의 중국주식 분석]

    중국 대형 항공사 8곳의 3분기까지 누적 합산 적자가 1000억위안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일 3억8800만위안(약 757억원)의 현금을 태우고 있다는 얘기다. 31일 제일재경에 따르면 상장 항공사 8곳의 3분기 실적 발표가 이날 마무리됐다. 8곳의 누적 적자는 1060억위안(약 21조원)으로 집계됐다. 손실 규모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두 배로 커졌다. '제로 코로나' 방역을 3년 가까이 유지하면서 여행 수요가 급감한데다, 올해는 국제유가까지 급등하면서 이중고에 직면했다는 분석이다. 중국 3대 항공사인 중국항공과 남방항공은 각각 281억위안, 동방항공은 175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작년 같은 기간 유일하게 흑자를 냈던 춘추항공도 적자로 전환했다. 항공사들의 재무상태가 악화하면서 채무를 제때 상환하지 못하는 디폴트도 속출했다. 지난해 5곳에 이어 올해도 4곳이 디폴트를 냈다. 중국 당국은 실적이 악화한 항공사들에 총 50억위안(약 1조원)의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 또 이달 30일부터 내년 3월 25일까지의 동계 시즌 국제편 운항 편수를 하계 시즌의 두 배인 840편으로 늘릴 계획이다. 당국의 방침에 맞춰 주요 항공사들도 증편 스케줄을 내놨다. 중국항공은 동계 시즌에 52개 항로에 1주일 132편을 운행할 계획이다. 베이징-요하네스버그, 충칭-호치민 등을 신설한다. 남방항공은 47개 항로에 203편을 띄울 예정이다. 중국 당국은 입국자들의 경우 격리 기간을 현행 10일(시설 7일, 집 3일)에서 7일(시설 2일, 집 5일)로 줄이는 방역 완화 방안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현재 결정된 것은 없다. 다만 최근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시진핑 주석 집권 3기를 확정한 지도부가 제로 코

  • [마켓인사이트] 국제기구 아리랑본드, 25년 만에 나온다

    [마켓인사이트] 국제기구 아리랑본드, 25년 만에 나온다

    ▶마켓인사이트 2월 19일 오후 2시34분중미 지역 경제 개발을 위한 국제 금융기구인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이 아리랑본드를 발행한다. 국제기구가 아리랑본드를 발행하는 것은 1995년 아시아개발은행 이후 25년 만이다. 아리랑본드는 해외 기업이나 기관이 한국에서 발행하는 원화채권이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CABEI는 최근 아리랑본드 발행을 위해 스탠다드차타드(SC)증권과 NH투자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했다. 조만간 조달 금액과 발행 시기 등 구체적인 조건을 정하고 본격적인 발행 준비를 시작할 계획이다. 국제기구임을 고려하면 적어도 1000억원 이상은 조달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CABEI는 채권 발행으로 마련한 자금을 중미 경제 발전을 위한 한국과의 교류 확대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한국 기업의 중미 진출 지원 등에 투입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CABEI는 1960년 니카라과,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등 중미 5개국이 지역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세운 다자 개발은행이다. 창설 국가 외에 10개국을 회원국으로 두고 있다. 한국은 지난해 말 15번째로 CABEI에 합류했다.국제기구가 오랜만에 아리랑본드 발행 시장에 등장하면서 한국 시장에서 해외 기업 또는 금융회사의 채권 발행이 활발해질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 2017년 해외 기업이 한국에서 발행한 채권 규모는 2000억원에 불과했지만 2018년(5140억원)과 지난해(5070억원) 5000억원대로 증가했다.IB업계 관계자는 “한국에서 지속적인 영업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려는 해외 기업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25년만에 국제기구 아리랑본드 나온다…중미경제통합은행 발행 추진

    25년만에 국제기구 아리랑본드 나온다…중미경제통합은행 발행 추진

    중미 지역 경제개발을 위한 국제 금융기구인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이 아리랑본드를 발행한다. 국제기구가 아리랑본드를 발행하는 것은 1995년 아시아개발은행 이후 25년 만이다. 아리랑본드는 외국 기관이나 기업이 한국에서 발행하는 원화채권이다. 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중미경제통합은행(CABEI)은 최근 아리랑본드 발행을 위해 스탠다드차타드(SC)증권과 NH투자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했다. 조만간 조달금액과 발행시기 등 구체적인 조건을 정하고 본격적인 발행 준비를 시작할 계획이다. 국제기구임을 고려하면 적어도 1000억원 이상은 조달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CABEI는 채권 발행으로 마련한 자금을 중미 경제 발전을 위한 한국과의 교류 확대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한국 기업들의 중미 진출 지원 등에 투입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CABEI는 1960년 니카라과 과테말라 엘살바도르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등 중미 5개국이 지역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세운 다자 개발은행이다. 주로 인프라와 에너지 분야 투자와 관련한 금융 지원을 하고 있다. 창설 국가 외에 벨리즈, 파나마, 도미니카공화국을 역내 회원국으로 두고 있다. 역외 회원국은 한국을 비롯해 대만, 멕시코, 스페인 등 7곳이다. 한국이 가장 최근인 지난해 말 15번째로 CABEI에 합류했다.국제기구의 아리랑본드 발행은 25년 만이다. 아리랑본드는 한국 채권시장의 글로벌화를 위해 1995년 도입됐지만 그 해 아시아개발은행이 800억원어치를 발행한 이후로는 국제기구의 발행은 종적을 감췄다. 발행에 나선 기업도 손에 꼽는다. 지금까지 두 차례 이상 아리랑본드를 발행한 곳은 중국 국적항공사인 동방항공과 글로벌 투자은행(IB)인 골드만

  • [마켓인사이트] 동방항공, QIB로 3000억 모았다

    [마켓인사이트] 동방항공, QIB로 3000억 모았다

    ▶마켓인사이트 12월 4일 오후 2시20분중국 국적항공사인 동방항공이 사상 최대 아리랑본드(외국 기업이 한국에서 발행한 원화 채권) 투자 수요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동방항공은 외국 기업의 국내 채권 발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된 적격기관투자가제도(QIB)를 처음 활용했다. 투자은행(IB)업계에선 동방항공의 발행 성공을 계기로 QIB를 활용한 외국 기업의 국내 채권 발행이 점차 확대될 것이란 기대가 나온다.7년 만에 열린 QIB 적용 발행4일 IB업계에 따르면 동방항공은 6일 발행 예정인 3000억원 규모의 3년 만기 원화 채권(신용등급 AA-) 투자자 모집을 완료했다. 아리랑본드로는 사상 최대 규모다. 발행 금리는 연 2.4% 수준으로 잠정 결정됐다. KB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동방항공은 이번 아리랑본드를 발행하며 2012년 국내에 도입된 QIB 제도를 처음 활용했다. QIB는 외국 기업이 증권신고서 등 각종 채권 발행 관련 서류를 영문으로 제출하고 간소한 심사만 받으면 전문 투자기관을 대상으로 채권 수요를 모을 수 있도록 한 제도다. 한글로 발행 관련 서류를 내야 하는 것을 면제해줌으로써 외국 기업의 국내 채권 발행을 확대하자는 취지로 도입됐다.박성원 KB증권 IB1총괄본부장(부사장)은 “이번 동방항공의 아리랑본드 발행 성공으로 외국 기업이 국내 채권시장에서 QIB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길이 열렸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사모 사채 관련 규제 풀어줘야”하지만 외국 기업의 국내 채권 발행이 얼마나 증가할지는 미지수란 게 IB업계의 분석이다. QIB를 통한 외국 기업의 채권 발행을 가로막고 있는 규제의 산이 여전히 많기 때문이다.금융감독당국은 2016년 증권사가 QIB

  • [마켓인사이트] 中 2위 항공사 동방항공…사상 최대 아리랑본드 발행

    [마켓인사이트] 中 2위 항공사 동방항공…사상 최대 아리랑본드 발행

    ▶마켓인사이트 10월 1일 오후 3시45분중국 2위 항공사인 중국동방항공이 사상 최대 규모의 아리랑본드 발행에 나선다. 아리랑본드는 외국 기업이 한국 시장에서 발행하는 원화채권이다. 2년 전 중국 기업 최초로 아리랑본드를 발행한 이 회사는 한국 영업에 힘을 싣기 위해 한국 내 자금 조달 규모를 늘리기로 했다.1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동방항공은 다음달 국내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원화채권 3000억원어치를 발행할 계획이다. 최근 국내 신용평가사들에 채권 신용등급 평가를 의뢰하는 등 본격적인 발행 준비에 들어갔다. KB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역대 최대 규모의 아리랑본드 발행이다. 기존 최대 금액 역시 동방항공이 2017년 발행한 1750억원어치다. 외국 기업이 국내에서 위안화, 달러화 등 외국 통화로 발행한 채권까지 모두 포함해 보더라도 하이난항공그룹(위안화·3350억원어치), 공상은행(위안화·3090억원어치)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많은 금액이 될 전망이다.동방항공은 발행 물량 대부분을 산업은행으로부터 지급 보증을 받았던 2년 전과 달리 이번에는 채권 전량을 자체 신용도로 발행하기로 했다.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네 번째로 높은 ‘AA-’가 유력하다.1988년 설립된 동방항공은 중국 상하이에 본사를 두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총 692개 항공기를 보유하고 있다. 세계 175개국 1150개 도시에 취항하고 있다. 지난해 이용객 수는 약 1억2199만 명. 지난해 매출 1152억위안(약 19조3409억원), 영업이익 93억위안(약 1조5613억원)을 올렸다.동방항공이 또 한 번 한국에서 대규모 채권 발행을 추진하고 나선 것은 한국 내 영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서다. 이 항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