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실적에도 웃지 못했다…나이키·룰루레몬 왜?
미국 스포츠의류업계 대표주자인 나이키와 룰루레몬이 21일(현지시간) 호실적을 내놨지만 주가 하락세가 두드러졌다. 각각 회사가 제시한 올해 하반기와 1분기 실적 전망이 시장 예상을 크게 밑돌면서 주가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나이키는 이날 2024회계연도 3분기(2023년 11월~2024년 2월)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0.3% 증가한 124억3000만달러라고 밝혔다. 시장 전망치(122억8000만달러)를 웃돈다. 같은 기간 북미 매출은 3% 증가한 50억7000만달러, 중국 매출은 5% 늘어난 20억8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존 도나호 나이키 최고경영자(CEO)는 “혁신 파이프라인에 대한 자신감이 커지면서 한발 앞서 나가고 있다”며 “긍정적인 신호가 보인다”고 자평했다.하지만 올해 하반기 실적 전망이 주가에 찬물을 끼얹었다. 나이키는 오는 6월 시작하는 하반기(2025회계연도 상반기) 매출이 한 자릿수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애널리스트들(블룸버그통신 집계)은 1분기 4%, 2분기 6% 성장을 기대했다. 도나호 CEO는 “나이키가 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몇 가지 중요한 조정을 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나이키는 매출 부진을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 12월 3년간 20억달러(약 2조6600억원) 규모의 구조조정을 단행하겠다고 밝혔다. 지난달 전 세계 인력의 2%에 달하는 1500명 감원을 발표했다. 푸남 고얄 블룸버그인텔리전스 애널리스트는 “상반기 약세 전망이 눈살을 찌푸리게 하지만 장기적으로 혁신이 회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적 발표 다음날 주가는 전날보다 6.90% 떨어진 93.86달러에 마감했다.스포츠의류 소매업체 룰루레몬도 낮아진 가이던스로 주가가 급
-
메타·넷플릭스의 굴욕?…이젠 가치株라네요
성장주 대표주자인 메타(옛 페이스북)와 넷플릭스가 가치주 대열에 합류한다. 뉴욕증시 약세로 이들 빅테크(대형 정보기술기업) 주가가 급락하면서 ‘저평가 종목’으로 분류돼서다.지난 2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주가지수회사 FTSE러셀은 지난 24일 장 마감 후 편입 종목을 조정했다. 이번 조정에서 가장 눈에 띄는 건 메타와 넷플릭스, 페이팔 등이 러셀1000가치지수에 신규 편입된 것이다. 메타 같은 기술주가 가치지수에 편입된 일은 매우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러셀1000가치지수는 주가순자산비율(PBR)이 상대적으로 낮고 성장 기대치가 높지 않은 종목으로 구성돼 있다. 저평가된 종목이라는 의미다.메타와 넷플릭스는 나스닥 상장 기술기업의 대표주자인 FAANG(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구글)의 구성 종목이다. 성장성 기대에 힘입어 주가가 폭등했고 나스닥지수가 지난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올 들어 미 중앙은행(Fed)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서 뉴욕증시가 약세장에 진입하자 기술주 투자심리가 냉각됐다. 성장 기대까지 꺾이면서 넷플릭스 주가는 올 들어 68%, 페이팔은 60% 하락했다. 메타 주가는 50% 떨어졌다. 메타의 현재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12.88배로 S&P500(15.82배)보다도 낮은 상태다.러셀1000가치지수에 편입된 종목은 러셀1000성장지수에서의 비중이 대폭 낮아진다. JP모간체이스는 메타의 경우 러셀1000성장지수의 비중이 2.3%에서 0.5%로 급감하는 대신 러셀1000가치지수에서 1.7%의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그 외 바이오기업 모더나, 화상회의 서비스 기업 줌, 소셜미디어업체 핀터레스트가 러셀1000가치지수에 편입된다. WSJ는 &ldq
-
[황정환의 모험자본 포커스] '스포츠테크' 대표주자 허들에 투자한 베인캐피탈
≪이 기사는 05월27일(15:0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글로벌 사모펀드 베인캐피탈의 벤처캐피탈(VC) 계열사 격인 베인캐피탈 테크오퍼튜니티즈(Bain Capital Tech Opportunities)가 스포츠 성과 분석 플랫폼 허들(Hudl)에 투자했습니다. 구체적인 투자 금액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2018년 마지막 투자 유치 당시 4억 1500만달러(5150억원)의 기업가치를 인정 받은 허들에 대한 후기 단계(late-stage) 지분 투자인만큼 업계는 투자 규모가 적지 않을 것이란 시각이 많습니다.일반인들에겐 생소하지만 허들은 전 세계 ‘스포츠 테크’(Sports Tech) 산업을 이끄는 선두 주자입니다. 전통적인 스포츠에 인공지능(AI), 5세대 통신망(5G), 사물인터넷(IoT)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한 것이 스포츠 테크입니다. 허들은 선수들의 영상을 찍고 AI기술로 선수들의 움직임을 분석해 성과를 측정하고 성적 향상을 위한 솔루션까지 제공하는 성과 분석 분야에서 탄탄한 입지를 다졌습니다. 허들에 따르면 현재 139개 국가에서 35개 스포츠 종목의 16만개 팀, 600만명 이상의 코치 및 선수들이 허들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허들을 비롯한 스포츠 테크 스타트업들은 쏟아지는 스포츠 통계 속에서 성적 향상의 비법을 찾아내는 ‘분석가’의 역할을 넘어 미래의 스타인 유망주를 발굴하는 ‘스카우터’들의 선구안까지 기술로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미국 내 고등학교의 98%가 최소한 1개의 종목에서 허들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직접 경기장에 가지 않더라도 미국 전역의 농구, 축구, 아이스하키, 미식축구 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