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매출·현금 늘어난 기업, 약세장서도 뛴다
‘파월 쇼크’로 국내 증시가 얼어붙었다. 당분간 큰 반등 없이 ‘박스피’를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전문가들은 약세장 땐 매출이 계속 늘거나 잉여현금흐름이 흑자로 전환하는 기업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매출 지속 증가 기업 주목29일 코스피와 코스닥지수는 모두 전 거래일 대비 2% 넘게 하락했다. 증권가에선 기업들의 이익 추정치가 줄어드는 가운데 금리 추가 인상까지 겹치면 증시가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온다.전문가들은 과거 약세장에서도 수익을 냈던 종목의 특성에 주목할 때라고 조언한다. 폭락장에서도 매출이 꾸준히 증가한 기업은 주가 상승률이 높았다는 분석이다. 셀트리온, 엔씨소프트, 한샘이 대표적 기업으로 꼽힌다. 이들 기업은 2008년 금융위기로 코스피지수가 48% 가까이 하락할 때 주가가 오르며 주도주로 떠올랐다. 2008년부터 2012년까지 매출이 연달아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덕분이다.하나증권은 올해와 내년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을 추렸다. 올 하반기 베어마켓 랠리 와중에 상반기 주가 하락분을 빠르게 만회했는지도 고려했다. 이 중 예상 매출 증가율이 가장 높은 종목은 2차전지 소재 기업인 엘앤에프였다. 올해 및 내년 예상 매출 증가율은 각각 331.9%, 50.6%로 전망됐다. 주가도 올초 대비 6월 말까지 5.6% 하락했지만, 이날 주가는 6월 말 대비 5.8% 올랐다.풍력발전타워 제조업체 씨에스윈드도 매출 증가가 기대되는 종목으로 꼽혔다. 올해와 내년 예상 매출 증가율은 각각 25.6%, 33.2%다. 연초 대비 6월 말까지 12% 하락한 주가는 6월 말 대비 22.3% 상승했다. 이날도 전일 대비 3.5% 올랐다. 두 종목
-
"인플레도 걱정 없다"…수익 탄탄한 기업 '찜'
높은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수익성이 탄탄한 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높은 수준의 영업이익을 유지하는 기업이 점점 희소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하고 있어서다. 증권가에서는 비에이치, 대덕전자, 신세계인터내셔날 등이 인플레이션 와중에도 높은 영업이익률을 방어할 가능성이 큰 종목으로 꼽히고 있다. 이들 종목은 2분기 영업이익 전망치가 1개월 전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공통점이 있다. 이익률 갈수록 둔화할 전망1일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올해 국내 상장사의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244조원으로 전년 대비 12.8% 증가하는 데 그칠 전망이다. 약 67% 증가한 전년에 비해 대폭 줄어든 수치다.영업이익률도 둔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국내 상장사의 영업이익률 컨센서스는 8.5%로 전년(8.7%) 대비 0.2%포인트 낮을 전망이다. 국내 상장사들이 인플레이션 상승, 중국 봉쇄 조치, 우크라이나 전쟁 등 각종 악재 속에서도 올 1분기 두 자릿수 이상의 영업이익 증가율을 달성하는 호실적을 거뒀지만 올해 전체 영업이익률은 오히려 전년보다 낮아지는 것이다.국내 기업의 실적이 연말로 갈수록 둔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1분기 13.4%에 달했지만 2분기 8.6%, 3분기에는 4.7%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실적 전망치 개선 종목 관심전문가들은 이런 상황에선 매출보다 영업이익이 느는 기업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커질 것이라고 분석한다. 인플레이션으로 제품 가격이 덩달아 뛰면서 매출은 늘어나기 쉽지만 원자재 가격이 크게 상승해 원가가 높아지는 만큼 영업이익률을 방어하기는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
[마켓인사이트] 중견기업, 속속 '지주사 전환' 막차 탄다
▶마켓인사이트 2월 16일 오후 3시59분중견기업들이 잇따라 지주회사 전환을 선언하고 있다. 회사를 지주회사와 사업회사로 인적분할한 뒤 오너 일가가 가진 사업회사 지분을 지주회사 신주로 바꿔 단숨에 후대 경영인의 지배력을 키우기 위한 포석이다. 조만간 이 같은 지주사 전환 관련 세제 혜택이 대폭 축소되는 것을 고려하면 ‘막차’를 타려는 기업이 줄을 이을 전망이다.지주 전환 위한 인적분할 잇따라인쇄회로기판(PCB) 제조 업체인 대덕전자는 지난 14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기 위해 투자회사 (주)대덕과 사업회사 대덕전자로 인적분할한다는 내용의 증권신고서를 공시했다. 오는 5월 1일 0.37((주)대덕) 대 0.63(대덕전자)의 비율로 회사를 쪼갤 계획이다. 분할이 마무리되면 최대주주인 김영재 사장(12.98%)과 특수관계인은 (주)대덕과 대덕전자 지분을 17.66%(보통주 기준)씩 보유한다. 분할 이후 (주)대덕과 대덕전자 모두 유가증권시장에 재상장할 예정이다.투자은행(IB)업계에선 인적분할이 끝나는 대로 (주)대덕이 현물출자 방식의 유상증자를 통해 대덕전자를 자회사로 편입할 것으로 보고 있다. (주)대덕이 오너 일가에 신주를 발행하는 대가로 오너 일가가 가진 대덕전자 주식을 받는 식이다. 이를 통해 김 사장은 (주)대덕 지분율을 높여 그룹에 대한 지배력을 탄탄히 다질 전망이다. 현재 김 사장의 대덕전자 지분율은 2대 주주인 국민연금(12.33%)보다 0.65%포인트 높은 수준에 불과하다. 대덕전자는 코스닥시장 상장사인 와이솔을 비롯해 위매스, 엠플러스 등 11개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다.닭고기 업체 마니커를 자회사로 둔 이지바이오도 대덕전자와 비슷한 시기에 지주회사로 전환하기 위한
-
대신證 "대덕전자, 5G 장비 생산능력 증대로 실적 성장"
대덕전자가 5세대(G) 이동통신 관련 장비 매출이 늘어 실적 성장을 이어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대신증권은 9일 ‘5G 투자의 수혜 시작’이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내고 “내년 글로벌 5G 서비스 시작 관련한 인프라 투자는 올 하반기부터 진행되기 시작했다”며 “삼성전자가 5G 관련 장비 수주를 늘리면서 주력 공급업체인 대덕전자의 매출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대덕전자의 통신장비용 인쇄회로기판(PBC) 부문 매출이 올해 10.7% 내년에는 33.3% 늘어날 것이라는 게 대신증권의 전망이다. 보고서를 작성한 박강호 연구원은 “대덕전자와 합병을 결의한 대덕 DGS의 공장을 이용하면 생산능력을 늘릴 수 있어 추가 매출과 마진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나수지 기자 suji@hankyung.com
-
대덕GDS, 대덕전자 지분 전량 매도…상호출자 해소
이 기사는 09월05일(18:23)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인쇄회로기판(PCB) 제조업체 대덕GDS가 모회사 대덕전자의 지분을 모두 처분해 양사가 상호출자 관계를 해소했다. 2세 경영인인 김영재 사장의 대덕전자 지배력이 더 강화됐다는 분석이다.대덕GDS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달 1일까지 4거래일에 걸쳐 보유 중인 대덕전자 지분 4.6%를 모두 장내매도했다고 지난 4일 공시했다. 해당 지분의 가치는 약 244억원이다. 이번 거래로 대덕GDS는 대덕전자와의 상호출자 고리를 끊었다. 대덕GDS 지분을 늘려가고 있는 대덕전자로선 깔끔한 지분관계로 자회사 지배력을 강화하게 됐다. 대덕전자는 지난 5월말 대덕GDS 주식 179만78주를 연말까지 매입해 이 회사 최대주주에 오르겠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현재 대덕GDS의 최대주주는 대덕전자 창업주이자 김 사장의 부친인 김정식 회장으로 지분 10.12%를 들고 있다. 이날 기준 대덕전자의 지분율은 9.32%로 지난 석 달간 총 26만7982만주를 사들였다. 지분 매입이 완료되면 지분율은 17.7%로 높아진다. 대덕GDS뿐만 아니라 이 회사가 지난 7월 인수한 스마트폰 부품업체 와이솔까지 거느리게 된다. 김 사장이 대덕전자 지분을 늘리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오너 일가의 영향력도 커질 전망이다. 그는 올 들어서만 장내에서 91억원을 들여 이 회사 주식 82만9488주를 사들였다. 지난해 말 9.28%였던 지분율은 어느덧 11.38%까지 뛰었다. 김 사장에서부터 ‘대덕전자-대덕GDS-와이솔’로 이어지는 지배구조가 점점 견고해지고 있다는 평가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대덕전자, 대덕GDS 주식 179만주 매입 추진
이 기사는 05월30일(18:20)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대덕전자가 인쇄회로기판(PCB) 업체인 대덕GDS 주식 179만주를 매입하기로 결정했다. 대덕전자는 오는 7월31일 대덕GDS 주식 179만78주를 장내매수할 예정이라고 30일 공시했다. 모바일 정보통신(IT)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서다. 총 매입가격은 이날 종가 기준 291억원에 이른다. 예정대로 주식을 취득하면 대덕전자가 보유한 대덕GDS 지분은 17.70%로 확대된다. 대덕GDS는 김정식 대덕전자 회장이 지분 9.16%를 보유한 최대주주이며 대덕전자가 9.0%를 보유한 2대 주주다. 대덕GDS는 지난해 매출 4632억원, 영업이익 49억원을 올린 PCB제조 및 판매를 하는 업체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