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독]SK텔레콤으로부터 119억원 투자 받은 원투씨엠, 다음달 상장 나선다
≪이 기사는 05월22일(13:4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SK텔레콤으로부터 960만 달러(119억원)를 투자 받은 핀테크 스타트업(신생벤처) 원투씨엠이 기술특례로 코스닥 상장에 나선다.22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원투씨엠은 다음달 중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에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기로 했다. 상장승인을 받는 대로 기업공개(IPO) 절차를 진행해 하반기 중 코스닥에 입성하겠다는 계획이다. IPO 대표주관사는 KB증권이다.2013년 설립된 원투씨엠은 ‘스마트스탬프’라는 신기술을 보유한 핀테크업체다. 배터리나 통신 연결 없이도 작동하는 스탬프(도장)를 스마트폰 화면에 띄운 티켓이나 쿠폰 위에 찍으면 별도 조치 없이 사용되는 식이다. 스마트폰의 터치화면이 최대 5개 점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는 점을 이용했다. 무수한 점으로 만든 QR코드처럼 도장 아래 박힌 5개 점의 위치를 스마트폰 화면의 터치센서가 인식하는 원리다. 원투씨엠이 국내외에 등록한 특허만 290개다.기존에는 소비자가 카카오톡 등을 통해 받은 기프티콘을 사용하려면 인터넷에 연결된 포스(POS)기로 바코드를 인식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반면 스마트스탬프는 스마트폰 화면에 찍는 순간 스마트폰이 포스기 대신 기프티콘 사용 여부를 서버로 보내준다. 이 때문에 포스 설치가 어렵거나 신용카드 보급률이 낮은 해외에서 원투씨엠을 찾는 러브콜이 이어지고 있다. 원투씨엠 관계자는 “미국 중국 등 20개국에서 우리 서비스를 쓰고 있다”며 “스마트스탬프라는 아이템을 이용해 사업을 시작한 협력사도 세계에 90곳이나 된다”고 말했다. 하루에 찍히는 횟수만 900
-
다음달 상장 앞둔 필옵틱스 "OLED 디스플레이용 장비에서 경쟁력 갖춰"
이 기사는 05월16일(14:06)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세계 최초로 OLED 디스플레이용 레이저 장비를 개발하는 등 기술력을 갖췄습니다.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채택이 늘어나면서 장비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글로벌 10대 장비기업이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용 장비제품을 생산하는 필옵틱스의 한기수 대표이사는 16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주요 고객사에서의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주요 고객사인 삼성디스플레이에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레이저 커팅장비의 점유율이 2014년 50%에서 지난해 64%로 확대된 것을 예로 들었다. 필옵틱스는 다음달 1일 코스닥시장에 상장할 예정이다. 2008년 설립된 필옵틱스의 주력제품은 OLED 디스플레이 공정에 쓰이는 레이저 장비다.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생산라인에 쓰인다. OLED 패널제조에서 전공정과 셀커팅, 후공정에서 활용된다. 이 부문에서 필옵틱스 매출의 89%(지난해 기준)가 나온다. 한 대표는 “OLED 디스플레이 공정장비의 교체수요는 디스플레이 산업의 대변혁기에 급증한다”고 실적 기대를 비쳤다. 휘어지지 않는 평판(rigid) 디스플레이에서 휘어지는(flexible) 디스플레이로 산업의 중심이 이동하면서 삼성디스플레이와 같은 고객사의 OLED 설비 투자가 확대하고, 이는 장비제조 기업의 매출 증가로 이어질수 있다는 설명이다. 올해 3억5000달러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올해 14억 달러에서 2020년에는 85억 달러까지 커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