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바나나도 못 파는 농협하나로마트…홈플러스 품을 수 있을까

    바나나도 못 파는 농협하나로마트…홈플러스 품을 수 있을까

    홈플러스 인수의향서(LOI) 접수를 앞두고 농협이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CJ를 비롯한 유통 대기업이 홈플러스 인수에 소극적인 가운데 자회사로 하나로마트를 운용하는 농협이 사실상 유일한 인수 주체로 주목받는 분위기다. 정치권에서는 홈플러스에서 대규모 정리해고를 우려하며 농협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2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오는 31일 LOI를 접수한다. 홈플러스 인수전에 뚜렷한 경쟁자가 나타나지 않으면서 하나로마트가 사실상 유일한 ‘희망 매수자’로 주목받는 상황이다. 정치권에서는 농협이 인수자로 나서달라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지난 24일 어기구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위원장은 국정감사에서 “(매각이 안되면) 홈플러스 직원 2만명과 소상공인과 입점업체, 가족들까지 30만명이 길바닥에 앉을 수 있다”고 했다.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은 “홈플러스 인수 논의는 내부적으로 검토한 바 없다”고 답했다. 하나로마트는 유통산업발전법 등 각종 규제로 어려움을 겪는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들과 달리 매장 수를 꾸준히 늘려왔다. 그러나 외형 성장에도 불구하고 만성적인 적자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농협은 농협하나로유통과 농협유통 두 개의 자회사를 통해 하나로마트를 운영하고 있는데, 두 회사 모두 2022년부터 매년 수백억원대 영업적자를 보고 있다. 농협하나로유통은 작년 매출 1조5050억원, 404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농협유통도 같은 기간 매출 1조6071억원, 218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전체 매장 62곳 가운데 35곳(56.5%)이 적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적자 원인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