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TA효과 사라졌다…韓 자동차, 日·EU와 같은 출발선에
현대자동차와 기아가 미국 시장에서 약진할 수 있었던 배경 중 하나는 가격 경쟁력이다. 일본이나 독일 차에 뒤지지 않는 성능과 디자인에 더해 ‘착한 가격’이 현대차·기아를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자동차 메이커(2004년 69만 대→2024년 171만 대)로 만들었다는 얘기다. 현대차 아반떼 가격(2만2125달러·약 3051만원)은 폭스바겐 제타(2만2995달러)보다 3.8% 낮고, 쏘나타(2만6900달러·약 3740만원)는 도요타 캠리(2만8400달러)에 비해 5.3% 저렴하다. ◇한·미 FTA 무관세 종료비밀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있다. ‘25% 관세 폭탄’ 전까지 한국산 자동차는 FTA 덕분에 관세가 0%였다. 반면 미국과 FTA를 맺지 않은 일본산과 유럽산은 2.5% 관세를 물었다. 이 차이가 한국 차에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를 안겨줬다. 하지만 8월 1일부터 한국 일본 유럽 모두 15% 관세를 내면서 한국 차의 가격 경쟁력은 2.5%만큼 떨어지게 됐다. 현대차와 기아가 살아남으려면 실질적으로 경쟁사에 비해 2.5% 더 부과된 관세 부담을 이겨낼 수 있는 근원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세 부담 40% 가까이 줄어자동차업계는 31일 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25% 관세 부과’란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는 이유에서다. 지난해 한국이 수출한 완성차 278만 대 중 51.4%인 143만 대가 미국행 선박에 실린 만큼 대미 관세율이 얼마로 확정되느냐는 한국 자동차업계의 미래를 결정하는 핵심 변수였다.시장에선 미국의 수입차 품목 관세가 15%로 낮아지면서 올해 현대차와 기아의 관세 부담이 3조원 넘게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투자증권은 관세율
-
국민연금, 기금운용 평가서 1년만에 '양호'등급 회복
지난해 정부의 자산운용평가에서 사실상 최저 등급인 '보통'을 받으며 굴욕을 맛봤던 국민연금기금이 1년 만에 '양호' 등급으로 복귀했다. 지난해 11.31%로 준수한 수익률을 기록했고, 해외·대체투자 확대를 위해 과감히 조직을 개편하는 등 혁신 노력을 기울인 것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기획재정부는 26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0년 기금평가 결과’를 국무회의에 보고했다. 기금평가는 정부가 기금의 존치 여부와 운용 실태를 평가하기 위해 매년 시행하는 제도다. 올해는 민간 전문가 35명으로 구성된 평가단이 참여했다. 평가단은 올해 국민연금을 비롯해 총 45개 공공기금의 운용 적정성을 평가했다. 올해 2월 말 기준 737조원의 자산을 운용하는 국민연금은 지난해 ‘보통’ 등급에서 올해 ‘양호’ 등급으로 한 단계 등급이 상승했다. 국민연금은 국내 다른 기금과 달리 2017년부터 일본 연금적립금관리운용 독립행정법인(GPIF), 미국 캘리포니아주 공무원연금(CalPERS), 캐나다 공적연기금(CPPIB)등 국민연금기금과 규모와 성격이 비슷한 세계 5대 연기금과 비교해 운용 성과 및 적정성을 평가 받고 있다.국민연금이 이번에 받은 ‘양호’는 △탁월 △우수 △양호 △보통 △미흡 △아주 미흡 등 6개로 나뉘어지는 평가 등급 가운데 3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다른 기금과 별도로 평가되지만 매년 '미흡' 이하 등급을 받는 기금이 많아야 1곳 정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지난해 국민연금은 사실상 최저 등급을 받은 셈이다. 이번 등급 상승은 국민연금이 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