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래프톤, 1650억원에 넵튠 인수
크래프톤이 카카오게임즈 자회사인 넵튠을 1650억원에 인수한다. 사업 다각화를 통한 중장기 성장 동력 확보 차원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크래프톤은 지난 29일 정기 이사회 결의를 통해 넵튠 지분 39.37%를 1650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30일 발표했다. 거래가 완료되면 크래프톤은 기존 보유 지분 3.16%를 포함, 42.53%의 지분을 확보해 넵튠 최대주주가 된다.넵튠은 애드테크 기반 플랫폼 사업과 게임 개발, 퍼블리싱 역량을 바탕으로 성장한 기업으로 2016년 상장했다. 크래프톤 지분 0.9%를 보유 중이며 이용자 기반 확대와 함께 수익 구조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콘텐츠 지식재산권(IP) 확장과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신성장 동력 발굴에 속도를 내고 있다.넵튠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216억원, 96억원을 기록했다. 코스닥시장 상장 이후 최대 실적이다. 크래프톤이 인수한 후에도 넵튠은 현재 경영 체제를 유지할 예정이다.크래프톤은 이번 인수를 바탕으로 인도 시장 등에서 사업 확장을 추진할 계획이다. 크래프톤 관계자는 “인도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검토하고 넵튠이 보유한 기술 및 사업 경험을 크래프톤의 게임 서비스에 녹일 것”이라고 말했다.안정훈 기자
-
크래프톤, 넵튠 최대주주 오른다
크래프톤이 코스닥 상장사 넵튠의 최대주주 자리에 오른다. 기존 최대주주인 카카오게임즈가 보유하던 지분 전량을 1650억원에 사들기로 하면서다.크래프톤은 카카오게임즈로부터 넵튠 지분 39.37%를 1650억원에 인수한다고 29일 공시했다. 기존에 넵튠 지분 3.16%를 보유 중이던 크래프톤은 카카오게임즈가 보유하던 지분을 인수하면 넵튠 지분 42.53%를 보유하는 최대주주가 된다. 크래프톤은 정욱 대표(5.30%)와 강율빈 대표(3.14%) 등 주요 주주가 보유한 지분에 대해 우선매수권도 받았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신고 승인 등을 받고 오는 6월 30일 거래를 종결할 계획이다.넵튠은 2012년 설립된 게임회사다. '고양이 스낵바' '우르르 용병단' '무한의 계단' 등이 넵튠의 주력 게임이다. 지난해엔 매출 1216억원을 거뒀다. 전년(997억원) 대비 22.0%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96억원으로 2023년(22억원)과 비교해 네 배 이상 늘었다. 순이익은 48억원을 기록했다. 카카오게임즈는 2018년 넵튠에 190억원을 투자한 데 이어 2020년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1935억원을 추가 투자해 최대주주에 올랐다. 카카오게임즈는 비주력 사업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넵튠 매각을 결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카카오게임즈는 카카오VX 매각 작업도 진행 중이다.넵튠은 이날 5.58% 오른 8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크래프톤은 1.86% 내린 37만원에 장을 마쳤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
카카오게임즈 관계사 넵튠, 좀비메이트 지분 19.9% 확보
넵튠이 국내 게임사 좀비메이트 지분 19.9%를 확보했다고 2일 발표했다. 넵튠은 지난 6월 기준 카카오게임즈가 최대주주로 지분 39.45%를 보유하고 있는 게임·광고기술 업체다.좀비메이트는 다운로드 수 1000만 건을 넘긴 모바일 게임 ‘냥스파’의 개발사다. 좀비메이트는 넵튠에서 받은 투자금을 활용해 신작 ‘고양이와 비밀레시피’를 올해 출시할 예정이다. 넵튠은 이번 투자로 산하 운영 중인 게임 스튜디오 수를 8개로 늘렸다. 넵튠은 다음달 국내 게임사인 펀스테이의 공상과학(SF) 방치형 게임 ‘다크스타’를 출시해 모바일 게임 유통 시장에도 진출하기로 했다.회사 관계자는 “광고기술 사업 역량을 활용해 좀비메이트의 매출 증대를 지원하겠다”며 “성장 가능성이 있는 개발사들에 투자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이주현 기자
-
신작 봇물 터진다…바닥 찍은 게임주 담아볼까
한한령(한류 콘텐츠 제한령)과 신작 부재로 지난해 내내 부진했던 게임주가 반등하고 있다. 주요 업체들의 신작이 나오는 데다 기업공개(IPO) 대어로 꼽히는 게임 개발사 시프트업이 상장을 앞두고 있어서다. 게임주를 담은 상장지수펀드(ETF)도 모처럼 고개를 들었다.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닥 시장에서 데브시스터즈는 28.96% 급등한 7만57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 초반에는 7만6300원까지 오르며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날 글로벌 시장에 공식 출시된 신작 '쿠키런: 모험의 탑'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미국 모바일 시장 분석 업체 앱피겨에 따르면 전날부터 진행한 사전 다운로드에서 한국은 물론 미국과 캐나다에서 다운로드 수 1위에 올랐다. 하반기 신작 공개를 앞둔 다른 게임주로도 온기가 퍼져나갔다. 이날 넵튠이 6.42% 올랐고, 위메이드(3.52%), 펄어비스(1.35%), 넷마블(2.03%) 등 게임주가 전반적으로 강세를 보였다. 넵튠의 주가 상승은 지난달 내놓은 방치형 경영 시뮬레이션 신작 '건물주 고양이 키우기'가 글로벌 론칭 1개월 만에 누적 100만 다운로드와 매출 15억원을 달성한 영향이다. 위메이드는 하반기 '레전드 오브 이미르'를 공개한다. 넷마블과 넥슨게임즈도 '일곱개의 대죄 키우기' '퍼스트 디센던트' 출시를 앞둬 신작 모멘텀(상승 동력)을 갖췄다는 분석이 나온다.시프트업이 상장을 앞둔 것도 게임주에 긍정적으로 작용 중이다. 시프트업이 공모가 밴드 상단으로 상장할 경우 시가총액이 약 3조5000억원에 달하는 대형 IPO다. 여기에 코스피로 직행한 게임사가 2021년 크래프톤 이후 3년 만이라는 점도 업계의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게임주를 담은 ET
-
넵튠,카카오 계열 애드테크 기업 애드엑스 흡수합병한다
코스닥시장 상장사인 넵튠이 카카오그룹 계열의 애드테크 기업 애드엑스를 흡수합병한다고 1일 공시했다. 넵튠과 애드엑스의 합병비율은 1:99.0361115로, 합병기일은 11월 1일이다. 에드엑스는 광고사업부문을 단순물적분할해 신설회사 애드엑스플러스를 설립하고 이와 동시에 분할존속회사를 넵튠과 합병키로 했다.애드엑스측은 "사업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합병을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2016년 설립된 에드액스는 △광고 네트워크 관리 △광고 UX 제안 △통합 대시보드 제공 등 모바일 광고 수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에드엑스는 모바일 게임사 '엔플라이스튜디오', '코드독', '엔크로키'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게임 개발 및 서비스업체인 넵튠은 이들 게임사의 IP(지식재산권)와 개발력을 확보해 게임 라인업을 다양화할 계획이다. 특히 엔플라이스튜디오 대표작 '무한의계단'은 국내서 1000만 다운로드를 돌파한 인기작이다. 지난해 3월 기준 MAU(월간활성이용자)가 '로블록스'와 '브롤스타즈'에 이어 3위를 기록하기도 했다.애드엑스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264억원, 영업이익 163억원을 올렸다. 넵튠은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 202억원, 영업손실 246억원을 기록했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넵튠, 모바일 게임 개발사 트리폴라 인수
게임기업 넵튠은 29일 모바일 게임 개발사인 트리플라 지분 51%를 인수했다고 밝혔다.트리플라는 지난 6월 마프게임즈를 창업한 허산 대표와 마프게임즈 산하 경영 시뮬레이션 게임 ‘타이쿤’ 제작 스튜디오 직원들이 모여 설립한 기업이다. 트리플라는 올해 안에 ‘장남감 공장 타이쿤’을 출시하고 매년 2~3개 게임을 새로 내놓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유태웅 넵튠 대표는 “트리플라는 글로벌시장에서 다운로드 100만건 이상을 기록한 게임을 여러 차례 출시한 저력이 있는 기업”이라며 “여성에 초점을 둔 장르에 강점을 보이고 있어 앞으로 다른 개발사와도 협력해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마켓인사이트 뉴스룸 insigh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