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 '현대百 지주사' 굳히기…현대그린푸드 주가 '해뜰날' 오나

    [마켓인사이트] '현대百 지주사' 굳히기…현대그린푸드 주가 '해뜰날' 오나

    ▶마켓인사이트 11월19일 오전 4시20분현대백화점그룹의 지주사로 떠오른 종합식품기업 현대그린푸드가 기업가치 끌어올리기에 나섰다. 빌딩 등 부동산과 불필요한 계열사 지분을 매각하고 알짜 계열사는 흡수 합병하면서 내실을 다지고 있다. 투자은행(IB)업계에서는 현대그린푸드의 가치를 높여 그룹 지배구조를 단단하게 다지려는 의도로 풀이하고 있다.내실 다지기 나서현대그린푸드의 100% 자회사인 현대아이티앤이(현대IT&E)는 지난 10일 하나금융투자가 운용하는 사모펀드(PEF) ‘하나금투자전략 제1호’를 대상으로 전환우선주(CPS) 20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현대IT&E는 7월1일 현대그린푸드의 정보기술(IT) 사업부문이 물적분할돼 출범한 회사다. 시스템통합(SI) 사업을 주력으로 하며 지난해 말 자산 규모는 201억원이다.이 회사는 전환우선주 발행금액만큼을 자본으로 회계처리할 예정이기 때문에 모회사인 현대그린푸드의 연결기준 자본도 더불어 늘어날 전망이다. 현대IT&E가 재무적 투자자(FI)의 투자금 회수를 돕기 위해 기업공개(IPO)를 추진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현대그린푸드는 지난달 서울 종로구 평동에 있는 서진빌딩을 305억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맺었다. 고(故) 정주영 현대그룹 명예회장이 1992년 창당한 통일국민당의 당사로 쓰인 건물이다. 현대그린푸드는 서진빌딩 매각 차익을 영업 외 수익 형태로 실적에 반영할 전망이다.알짜 계열사 합병으로 실적과 재무구조를 개선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다음달 31일 부동산 자회사인 금강에이앤디와 인력공급 업체인 현대푸드시스템을 흡수 합병할 예정이다. 두 회사의 지난해 말 자본 합계는 478억원에 달한다.주가에도 긍정적 영향

  • [마켓인사이트] 비주력 사업 손질하는 한솔그룹…기업가치 끌어올린다

    [마켓인사이트] 비주력 사업 손질하는 한솔그룹…기업가치 끌어올린다

    ▶마켓인사이트 11월6일 오후 4시35분한솔그룹이 비주력 계열사와 부동산 등 자산을 과감하게 매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주회사 한솔홀딩스와 주력 계열사 한솔제지의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사업 역량을 높이고 있다. 자산과 사업 리모델링을 통해 한솔그룹의 가치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시키고 있다는 분석이다.한솔제지는 덴마크 계열사인 한솔덴마크와 독일 계열사인 R+S그룹의 경영권을 각각 213억원, 82억원에 매각하기로 결정했다고 6일 공시했다. 처분 예정일은 다음달 17일이다. 매각할 두 계열사는 영화표와 영수증 등으로 쓰는 감열지 유통·가공업체다. 감열지는 열을 받으면 색상이 변하는 종이다.한솔제지는 유럽 감열지 시장 진출을 위해 2013년 한솔덴마크, 2015년 R+S그룹을 인수했다. 두 회사는 연간 순이익이 10억~30억원 수준에 그쳐 실적 기여도가 높지 않았다. 올 상반기 한솔덴마크는 매출 633억원에 순이익 7억원, R+S는 매출 303억원에 순이익 15억원을 각각 올렸다. 한솔제지는 올 상반기 매출 9598억원, 순이익은 319억원을 기록했다. 한솔제지 측은 “감열지 생산 사업에 역량을 모으기 위해 감열지 유통·가공사업을 하는 두 회사를 처분했다”고 설명했다. 현재 한솔제지의 전체 매출에서 감열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 안팎이지만 향후 생산 규모를 크게 늘릴 계획이다. 한솔제지는 또 지난해 말 경기 오산공장 부지 일부(면적 3만6668㎡)를 222억원에 매각했다.한솔제지 모회사인 한솔홀딩스도 지난 4월 부실이 깊어가던 계열사 한솔신텍(현 신텍) 경영권을 200억원에 처분했다. 한솔신텍은 플랜트 설비를 생산하는 업체다. 한솔홀딩스는 강원 원주 오크밸리 리조트를 운영하는 한솔

  • [마켓인사이트] 롯데관광개발, 제주 복합리조트·카지노로 재기할까

    [마켓인사이트] 롯데관광개발, 제주 복합리조트·카지노로 재기할까

    ▶마켓인사이트 8월19일 오전 4시15분서울 용산역세권 개발과 면세점 사업에서 어려움을 겪은 롯데관광개발이 제주드림타워 복합리조트·카지노 사업으로 재기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인허가 불확실성에 투자자금 조달이 제대로 될지 확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19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롯데관광개발이 오는 10월 진행하는 24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이 회사 최대주주인 김기병 회장(지분 43.55%)을 비롯한 특수관계인은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김 회장과 특수관계인의 이 회사 지분은 82.86%에 달한다. 이들에게 배정된 신주(1449만703주) 1869억원어치는 일반공모 방식으로 투자자들에게 매각할 예정이다.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은 제주드림타워 복합리조트 투자비로 사용할 예정이다.롯데관광개발은 중국 루디(녹지)그룹과 합작비율 59.9 대 40.1로 9000억원을 들여 내년 9월까지 제주 노형동에 카지노와 호텔(750실), 쇼핑몰, 전망대 등으로 구성된 복합리조트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오는 10월부터 사업비 4680억원을 루디그룹 등에 지급해야 한다. 추가로 복합리조트 인테리어 비용 2413억원도 마련해야 한다. 모두 7093억원에 이르는 사업비와 인테리어 비용을 유상증자 자금과 복합리조트를 담보로 조달한 차입금으로 충당할 계획이다.롯데관광개발은 최근 인수를 결정한 파라다이스 제주롯데 카지노 사업장을 내년 제주드림타워로 옮길 계획이다. 카지노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매장 규모를 대폭 늘린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제주도 당국이 허가를 해줄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제주시 한복판에 카지노를 세우는 것을 놓고 제주 시민들의 여론이 악화되고 있어서다. 양기철 제주도 관광국장은 최근 “

  • [마켓인사이트] 두산그룹 '캐시카우' 된 두산밥캣

    [마켓인사이트] 두산그룹 '캐시카우' 된 두산밥캣

    ▶마켓인사이트 8월14일 오전 6시15분두산밥캣이 그룹의 미운 오리 새끼에서 백조로 변신을 거듭하고 있다. 재무구조 개선 노력이 결실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이동 발전기를 생산하는 포터블파워 사업부 매각이 마무리되면 재무 개선 결과가 실적 증가를 이끄는 선순환이 본격화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4년 새 차입금 6700억원 상환두산밥캣은 올해 말까지 차입금을 대거 줄여 부채비율을 72.0% 수준까지 낮출 계획이다. 2014년 말 105.0%에 달하던 부채비율은 지난해 말 80.4%, 올 상반기 말 78.8%로 떨어졌다. 순차입금(총차입금-현금성자산)은 올 상반기 말 8786억원으로 2014년(1조5501억원)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2014년 상반기 미국 금융회사 등에서 빌린 만기 선순위 담보부 장기대출(17억달러)을 꾸준히 갚은 결과다. 두산밥캣은 올해 5월과 7월 두 차례에 걸쳐 2억5000만달러 규모의 장기대출을 조기 상환했다. 빚이 줄면서 이자비용 부담도 감소했다.실적이 향상되면서 빚을 갚을 여력이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두산밥캣은 올 상반기에 매출 1조9087억원, 영업이익 2332억원을 올렸다. 작년 상반기보다 각각 14.6%, 11.0% 증가했다.미국 주택경기가 살아나면서 주력 제품인 소형 건설기계 판매가 늘었다.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추진한 것도 실적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비주력 사업으로 분류되는 중장비 부문을 지난해 모회사인 두산인프라코어로 넘긴 것은 물론 최근 3년 동안 유럽 사업부문을 축소했다.이 회사는 구조조정 차원에서 포터블파워 사업부도 매각을 추진 중이다. 잠재적 인수후보와 협상을 벌이고 있다. 업계 예상 매각가격은 3000억~4000억원이다.◆두산그룹 캐시카우로두산밥캣은 올 들어 절

  • 年 이자비용만 4000억… '좀비기업' 전락한 석유공사

    年 이자비용만 4000억… '좀비기업' 전락한 석유공사

    ▶마켓인사이트 7월11일 오후 3시45분한국석유공사가 벌어들인 현금으로 이자도 못 갚는 ‘좀비기업’으로 전락했다. 해외사업 부실이 갈수록 커지면서 매년 내야 하는 이자 비용만 4000억원에 육박하고 있기 때문이다. 고강도 구조조정에 착수했지만 결국 세금으로 부실을 메울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11일 석유공사에 따르면 이 회사는 올해 매출 3조5609억원, 당기순손실 4781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다. 2011년 이후 8년 연속 순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순손실 전망치를 바탕으로 석유공사의 부채비율을 계산하면 833.99%로, 지난해 말(674.03%)보다 159.89%포인트 올라갈 전망이다. 석유공사의 부채비율은 2013년 말 180.06%였지만 이후 매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재무구조가 계속 나빠지는 것은 실적 부진 때문이다. 2015년 무려 4조5002억원의 순손실을 냈고, 2016년과 지난해에도 각각 1조1188억원과 675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손실 폭이 줄고는 있지만 만성 적자 구조가 굳어졌다는 평가까지 나온다.부실의 원흉은 해외사업이다. 특히 2009년 12월 40억8000만달러(약 4조5500억원)를 들여 인수한 캐나다 석유업체 하베스트의 부실이 가장 눈에 띈다. 매년 손실을 내고 있고, 지난해 손실만 2460억원에 달한다. 하베스트는 지난해 말 기준 완전 자본잠식 상태다. 석유공사는 이 때문에 지난해 6347억원을 영업외 손실(유·무형자산 손상차손)로 처리했다.눈덩이처럼 불어난 차입금도 부담이다. 2008년 4조2720억원이던 석유공사의 차입금은 하베스트 등 해외 업체 인수 과정에서 대거 불어났다. 지난해 말 차입금은 13조2064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이자 비용은 3921억원으로 영업이익(1741억원)

  • [마켓인사이트] 부실 떼내고 알짜 품고… 이건홀딩스의 재무 개선법

    [마켓인사이트] 부실 떼내고 알짜 품고… 이건홀딩스의 재무 개선법

    ▶마켓인사이트 7월2일 오후 3시2분이건홀딩스가 이건산업 주식을 공개매수해 지주회사 체제 굳히기에 나서고 있다. 이건홀딩스는 지난해 3월 옛 이건창호가 물적 분할돼 세워졌다. 창호 제조·판매·시공을 하는 사업부문은 이건창호로 하고, 존속회사는 지주회사로 전환해 이건홀딩스로 이름 붙였다. 이건홀딩스가 골칫거리 사업부를 자회사로 떼어내면서 부실이 확산될 위험을 차단한 것이라는 게 증권업계 평가다.◆이건산업 지분 공개매수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이건홀딩스는 다음달 29일 지주사 요건을 맞추기 위해 목재·합판 계열사인 이건산업 주주들의 보유 지분을 공개매수를 통해 사들일 예정이다. 이건산업 주식을 받는 대신 이건홀딩스 신주 1047만7299주를 발행해 이건산업 주주들에게 주기로 했다. 주당 3436원에 359억원어치를 발행할 예정이다.이건홀딩스가 이건산업 지분을 취득하는 것은 지주사 전환 후 2년 안에 상장 자회사 지분을 20%(비상장사는 40%) 이상 보유해야 하는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다. 이건홀딩스는 이건산업 지분 16.22%를 보유하고 있다. 공개매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 이건산업 지분은 42.88%까지 늘어난다.이건홀딩스는 총수 일가인 박영주 회장이 6.20%, 박 회장의 차남인 박승준 이건산업 사장이 20.20% 지분을 각각 보유하고 있다. 박 회장과 박 사장은 이건산업 지분도 각각 9.96%, 8.61% 갖고 있다. 이건홀딩스가 신주 발행을 통해 이건산업 지분을 취득하면 재무구조와 연결기준 실적을 동시에 개선하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이번 공개매수가 마무리되면 박 회장과 박 사장 부자의 이건홀딩스 지분은 50%대에 육박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