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금이 바닥일까? "경영진 '줍줍株' 주목"
연말을 앞두고 최대주주, 오너 일가, 임원 등 고위 경영진이 회사 주식을 매집하는 종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내재 가치에 비해 주가가 낮은 상태거나 주가가 오를 호재가 나올 수 있어서다. 전문가들은 “내부자의 매수와 주가는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에 이들의 매매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한 달간 상장사 10곳 대주주 지분 확대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최근 한 달(11월 19일~12월 19일) 국도화학, 쏘카, 정다운, 사조대림, 에스엠벡셀, 휠라홀딩스, 미래에셋생명, KX, JW홀딩스, 대한약품 등 10개 종목은 내부자가 주식을 여러 차례 매입하거나 한 번에 지분을 큰 폭으로 늘렸다.이 중 상당수는 주가가 크게 하락한 상태다. 에폭시 생산업체 국도화학은 2021년 9월 고점 대비 56% 떨어졌다. 작년 8월 상장한 쏘카는 공모가(2만8000원)의 반 토막 수준인 1만4770원(19일 종가)에 거래되고 있다. KX는 2020년 최고점 대비 76% 빠졌다.증권업계 관계자는 “내부자는 회사 경영 상황이나 전망에 가장 정통하다”며 “통상 내부자가 지분을 여러 차례 사들이면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설명했다.국도화학은 최대 주주인 국도코퍼레이션이 최근 한 달간 18차례 장내 매수를 통해 지분을 기존 23.72%에서 24.27%로 0.55%포인트 늘렸다. 평균 매수 단가는 3만9000원대(현재가 4만600원)다. 국도화학은 인도에서 공격적으로 증설하고 있어 인도 수혜주로 꼽힌다.지분 확대하는 이유는사조대림은 오너가 처분한 지분을 다시 사모으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주진우 사조그룹 회장은 2020년 주요 계열사인 사조대림 지분을 전부 처분했다. 지난 10월 말부터는 지분을 장내에서 사들이기 시작했다. 한
-
"회장님 폭풍 매수하는데 주가는 바닥"…내부자 주식은?
최대 주주, 오너일가, 고위 임원 등 내부자가 지분을 사들이는 종목이 주목받고 있다. 내부자는 주가가 낮거나 상승 가능성이 있을 때 지분을 매집하는 경향이 있다. 전문가들은 “내부자의 매수와 주가는 상관관계가 높기 때문에 이들의 매매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내부자들 바닥에서 매집1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최근 한 달(11월 19일~12월 19일) 국도화학, 쏘카, 정다운, 사조대림, 에스엠벡셀, 휠라홀딩스, 미래에셋생명, KX, JW홀딩스, 대한약품 등 10개 종목은 내부자가 주식을 여러 차례 매입하거나 한 번에 지분을 큰 폭으로 늘렸다.이 중 상당수는 주가가 크게 하락한 상태다. 에폭시 생산업체 국도화학은 2021년 9월 고점 대비 56% 떨어졌다. 작년 8월 상장한 쏘카는 공모가(2만8000원)의 반 토막 수준인 1만4770원(19일 종가)에 거래되고 있다. KX는 2020년 최고점 대비 76% 빠졌다.증권업계 관계자는 “내부자는 회사 경영 상황이나 전망에 대해 가장 정통하다”라며 “통상 내부자가 지분을 여러 차례 사들이면 주가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고 설명했다.국도화학은 최대 주주인 국도코퍼레이션이 최근 한 달 18차례 장내 매수를 통해 지분을 기존 23.72%에서 24.27%로 0.55%포인트 늘렸다. 평균 매수 단가는 3만9000원대(현재가 4만600원)다. 국도화학은 인도 증설을 공격적으로 하고 있어 인도 수혜주로 꼽힌다. ◆다시 지분 사들인 회장님사조대림은 오너가 처분했던 지분을 다시 사모으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주진우 사조그룹 회장은 2020년 주요 계열사인 사조대림 지분을 전부 처분했다. 그러다 지난 10월 말부터 지분을 장내서 사들이기 시작했다. 한 달 사이 주 회
-
조선업계 수주 늘자…국도화학, 영업이익 4배 '껑충'
국도화학은 페인트 원료인 에폭시수지의 한국 시장 점유율이 65%에 달하는 업체로 숨은 알짜기업으로 통한다. 작년 조선업계 선박 건조가 급증하면서 페인트 수요도 늘자 이 회사 영업이익은 네 배 이상 불었다. ‘슈퍼개미’가 최근 이 회사 보유 주식 규모를 늘리면서 주가 상승 기대도 커지고 있다.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도화학의 작년 영업이익은 2047억원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2020년(460억원)과 비교해 345% 급증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1조5771억원으로 34% 늘었다. 이 회사 실적 증가세는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 1분기 매출은 4165억원, 영업이익은 355억원을 거뒀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34%, 35% 늘었다.1972년 출범한 국도화학은 에폭시수지 ‘한 우물’만 팠다. 지난해 기준 에폭시 시장 점유율은 65%로, 후발주자인 금호피앤비화학(29%)과 헥시온코리아(2%) 등을 큰 격차로 앞질렀다. 세계 시장으로 넓혀봐도 미국 화학업체인 올린에 이어 점유율 2위다.에폭시 가격이 지난해에 큰 폭으로 뜀박질하자 이 회사 실적도 큰 폭으로 좋아졌다. 에폭시 제품 가격에서 원재료(BPA) 가격을 뺀 ‘에폭시 마진’은 2020년 평균 t당 935.7달러에 머물렀지만, 지난해에는 1538.6달러로 치솟았다. 올해 3월 평균은 2016.5달러로 급등했다. 에폭시는 선박 파이프라인 코팅재와 바닥재용 페인트에 들어간다.현대중공업 현대삼호중공업 현대미포조선 삼성중공업 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조선사 다섯 곳의 작년 수주액은 590억달러로 전년 대비 111.4% 늘어나면서 향후 에폭시 수요도 큰 폭으로 증가할 전망이다.압도적 사업 역량과 불어나는 실적에도 주가는 지지부진하다. 이 회사 주가는 작년 9월 10일 장중
-
국도화학, 944억원 유상증자 성공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08월13일(09:4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유상증자에 나선 국도화학이 목표금액 이상의 투자수요를 확보했다. 시세 차익을 내면서 무상 신주도 얻을 기회로 판단한 주주들이 적극적으로 청약에 참여했다는 평가다.국도화학은 944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위해 지난 11~12일 주주 및 우리사주조합을 상대로 진행한 청약에 모집금액보다 약 5.5% 더 많은 매수주문이 들어왔다고 13일 공시했다. 적잖은 주주가 초과청약을 했을 정도로 투자의사를 강하게 내비쳤다.주주들은 두둑한 시세 차익을 기대하고 공격적으로 청약에 뛰어들었다. 지난 12일 국도화학 주가는 8만4900원으로 신주 발행가격(5만9000원)을 43.8% 웃돌고 있다. 청약에 참여한 주주는 신주 상장일(9월2일)까지 주가가 크게 하락하지만 않으면 수익을 거둘 전망이다.유상증자에 참여하면 공짜 신주를 받울 수 있다는 점도 주주들의 관심을 끌었다는 분석이다. 국도화학은 다음달 8일 주주들에게 보유주식 1주당 신주 0.22주를 발행하는 무상증자를 할 예정이다. 신주 배정 기준일은 이달 23일로 이번 유상증자로 발행되는 주식에도 무상 신주를 받을 권리가 적용된다.국도화학은 청약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되면서 1000억원에 가까운 투자 실탄을 손에 쥐게 됐다. 이 회사는 유상증자로 확보한 자금을 에폭시수지와 경화제, 비스페놀F 생산설비 확충과 주요 제품 원재료 구매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국도화학, 유·무상증자 동시 추진
국도화학이 유상증자를 통해 1000억원에 가까운 자금을 조달한다. 주주들을 상대로 공짜 신주를 발행하는 무상증자도 동시에 진행한다.국도화학은 7일 이사회를 열고 주주 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으로 920억원 규모 유상증자를 하기로 결정했다. 오는 8월19일 신주 160만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현재 발행주식(581만616주)의 27.5% 규모다. 신주 발행가격은 한 주당 5만7700원으로 이날 종가(7만5500원)보다 23.5% 낮다. 이 회사는 증자로 확보한 자금을 익산 BPF공장 증설, 부산 물류센터 매입, 자회사 국도정밀의 경화제·액상 에폭시 공장 증설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한국투자증권이 발행 주관을 맡았다.국도화학은 유상증자 직후인 9월 초 무상증자도 하기로 했다. 보유주식 한 주당 신주 0.22주를 발행할 계획이다. 총 160만주가 추가로 발행된다. 유상증자로 발행되는 신주 역시 무상증자 적용대상에 포함된다. 국도화학은 1972년 설립된 화학회사로 에폭시수지와 폴리올수지 등을 생산하고 있다. 1989년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했다. 지난 1분기 매출 3109억원, 영업이익 263억원을 기록했다.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국도화학, 회사채 150억원 발행
국내 1위 에폭시수지 제조업체인 국도화학이 150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에 나선다.국도화학은 오는 23일 3년 만기 회사채 150억원어치를 공모로 발행한다고 11일 공시했다. 이 회사는 오는 16일 기관투자가들을 상대로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번에 조달한 자금은 이달 말 만기 도래 예정인 회사채 차환에 사용한다. 신한금융투자가 대표주관을 맡았다.국도화학은 1972년 설립된 화학회사로 에폭시수지와 경화제 등을 주력제품으로 생산하고 있다. 특히 에폭시수지 부문에서 국내 최대인 연산 75만t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다. 매년 500억원 안팎의 영입이익을 내며 안정적인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매출 1조2806억원, 영업이익 686억원을 거뒀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은 국도화학 신용등급을 ‘A+’(안정적)으로 매기고 있다.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다섯 번째로 높은 등급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
-
유가 상승기 ‘실탄’ 확보나선 정유·화학사들…회사채 발행규모 사상 최대
≪이 기사는 10월10일(08:1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올해 정유·화학사들의 채권 발행금액이 6조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최근 국제유가가 80달러를 돌파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자 영업비용 증가에 대비해 ‘실탄’을 끌어모으고 있다는 분석이다. 시장에선 당분간 유가 상승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내년에도 이들 업체들의 자금조달 행렬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줄잇는 대규모 자금조달10일 한국경제신문 자본시장 전문매체인 마켓인사이트 집계에 따르면 올 1~10월 국내 정유·화학사들의 공모 회사채 발행금액은 총 6조1460억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수요예측 제도가 도입된 2012년 이후 연간 기준으로는 사상 최대규모다. 직전 최대기록은 2014년 5조9620억원이다.연초부터 대형사들의 대규모 채권 발행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월 LG화학이 국내 회사채시장에서 사상 최대규모인 1조원어치를 찍었고 SK이노베이션(5000억원) SK에너지(5000억원) SK종합화학(5000억원) SK인천석유화학(4000억원) 등 SK그룹 계열사들도 연이어 회사채를 발행해 ‘뭉칫돈’을 마련했다. SK인천석유화학을 뺀 SK이노베이션과 자회사들은 최근 3~4년간 회사채시장에서 자취를 감췄었다.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인 현대오일뱅크도 올해 두 차례 채권을 발행해 3500억원을 마련했다. 이들 정유·화학사 이달에도 부지런히 자금을 조달한다. 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에너지는 오는 30일 3000억원어치 회사채를 찍을 계획이다. 6개월 만의 채권 발행이다. 이 회사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운영자금 및 차입금 상환재원으로 사
-
[마켓인사이트] 웅진·일동홀딩스·국도화학… '투자 고수' 中企 사장님들은 왜 이 종목을 샀을까
▶마켓인사이트 8월6일 오후 2시6분동일기연을 비롯한 최메디칼, 에이스유니폼 등 중소기업의 최고경영자(CEO) 등 경영진들이 주식시장의 ‘큰손’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도화학 일동홀딩스 웅진 등의 주식을 각각 100억~200억원어치 사들이면서 주목받고 있다. 이들은 사업 현장에서 쌓은 경험 등을 토대로 유망 종목을 선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웅진은 6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전 거래일보다 65원(2.26%) 오른 2945원에 마감했다. 이 회사 주가는 지난달 30일 부산 건설업체 에이스디엔씨와 의류업체 에이스유니폼이 지분 5.35%(389만1614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한 이후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두 회사는 김태균 대표가 최대주주로 경영을 맡고 있다.김 대표는 과거 웅진 자회사였던 도레이케미칼(옛 웅진케미칼) 주식을 2001년부터 조금씩 사들였다. 도레이케미칼은 에이스유니폼에 섬유 제품을 납품하는 거래업체로 인연을 쌓았다. 김 대표는 웅진이 출판사업과 생활가전용품 렌털사업에서 성과를 내고 있어 주가 상승 여력이 높다고 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 목적을 경영권 참여로 공시했지만 웅진 경영진과 대립각을 세울 계획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에이스디엔씨에 정통한 한 관계자는 “김 대표는 미래 기업가치를 보고 웅진에 투자한 장기 투자자”라며 “기업가치 향상을 위한 건설적 제안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의약품 도매업체인 최메디칼 구은영 대표와 그의 약사 친인척들은 일동홀딩스 주식을 사들였다. 이들은 지난달 6일 일동홀딩스 지분을 6.19%에서 7.20%로 늘렸다.최메디칼은 지난해 매출 550억원, 영업이익 18억원을 올렸다. 구 대표와 그의 친인척들은 서울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