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투자 해라, 말아라”…정치권 외풍 시달리는 국민연금
≪이 기사는 02월17일(04:25)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 노후자금인 국민연금을 한국판 뉴딜, 공공주택 확대 등 정책 사업에 투입하려는 정부·여당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 투자 비전문가인 정치인들이 연기금의 정상적인 투자 활동을 '위험한 투자'로 몰아가는가 하면, 투자 결정 과정에 간섭하려는 시도까지 이뤄지고 있다. 정부·여당이 정책 추진에 부족한 재원을 메꾸기 위해 국민의 노후자금을 사용하려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정부·여당 핵심서 제기되는 국민연금 동원론 지난 8일 대정부질문에서 여권 핵심인 이광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국내 연기금이 해외 부동산에 150조원을 투자하는데, 이를 주택마련으로 돌려야 한다"고 발언했다. 부동산 값을 잡기 위해 공공임대주택 확대를 추진하는 현 정부 정책에 국민연금을 비롯한 연기금 자금을 투입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이 의원의 발언은 특정 위원 개인의 견해가 아닌 현 정부·여당의 의지가 반영돼 있다는 평가다. 지난달 26일 정세균 국무총리는 "연기금, 공제회 등 기관투자가가 상업용 부동산보다는 생산적인 부문에 투자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넘치는 시중 유동자금이 뉴딜기업에 투자되어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하도록 하는 선제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여당 '경제통' 김진표 의원도 같은 달 20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연기금의 해외 부동산 등 금융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하다"며 "매도 회수자금으로는 한국판 뉴딜에 투자돼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권 전체를
-
국내 연기금·공제회들, 코로나19 전 세계적 확산에 벤처펀드 리스크 '긴급점검'
≪이 기사는 04월10일(07:1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사모시장 조성의 중심축인 연기금·공제회 등 출자자(LP)들이 일제히 벤처투자 리스크에 대한 점검에 나섰다.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벤처펀드들의 투자 대상인 스타트업(초기 벤처기업)들의 대규모 구조조정 가능성이 대두되면서다.10일 벤처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교직원공제회 등 국내 주요 LP들은 최근 이들로부터 자금을 위탁 받아 운용하고 있는 벤처캐피탈(VC) 운용사들을 대상으로 코로나19가 펀드 운용 및 투자 기업의 가치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점검했다. 올해 본격적인 벤처펀드 출자를 앞두고 투자 자산의 리스크 요인 등을 확인하는 차원에서 이뤄진 조치다.이같은 LP들의 움직임은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벤처투자의 중심지인 미국과 중국 등에서 여행·공유오피스 등 스타트업들이 대규모 감원에 들어가는 등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있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평가다.한 공제회 관계자는 "온라인쇼핑이나 교육, 물류 등 코로나19여파로 수혜를 보는 스타트업도 적지 않고 VC들의 포트폴리오도 쏠림 없이 분산돼있어 펀드 운용 자체의 리스크는 크지 않다고 본다"면서도 "코로나19가 실물 경기의 침체로 이어졌을 때 상장(IPO)등 회수 시장이 침체되고 벤처 기업에 대한 기존의 높은 밸류에이션이 무너지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이같은 LP들의 행보에 VC들은 긴장하는 모양새다. 한국벤처투자(모태펀드), 한국성장금융, 산업은행 등 벤처투자시장에 정책자금을 공급하는 기관들이 올해 벤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