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마켓인사이트] 벤처펀드 절반이 정책자금…'나눠먹기식 배분'에 성장 한계

    [마켓인사이트] 벤처펀드 절반이 정책자금…'나눠먹기식 배분'에 성장 한계

    ▶마켓인사이트 12월 19일 오후 2시4분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면역치료제 제조업체인 에이프로젠은 지난 10일 미국 시장조사업체 CB인사이트의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스타트업)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로써 한국은 쿠팡, 우아한형제들, 무신사 등에 이어 11번째 유니콘 기업을 보유하게 됐다. 유니콘 기업은 작년 여섯 개에서 1년 만에 다섯 개 증가했다.유니콘 기업이 속출하며 국내 산업의 역동성이 높아지고 있는 데는 벤처캐피털(VC)을 중심으로 한 모험자본의 역할이 컸다. VC들은 2015년 2조858억원에 머물던 신규 벤처투자 금액을 올해 4조원까지 확대하면서 국내 산업 지형도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하지만 정책자금에 대한 과도한 의존과 국내 출자자(LP)들의 무관심, 혁신을 막는 규제 등이 여전해 모험자본시장 발전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정책자금 중심의 투자 한계 많아”한국벤처캐피탈협회에 따르면 국내 신규 벤처펀드 가운데 한국벤처투자(모태펀드),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성장사다리펀드) 등 정책 자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30~40%에 달한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 벤처펀드에 비해 정책 자금 비중이 배 이상 높다.정책 자금은 민간 자본 유입이 더딘 상황에서 벤처투자 시장을 빠르게 성장시킨 ‘마중물’이 됐다는 점에서 긍정적 역할을 했다. 하지만 “벤처투자 시장이 성숙해질수록 업계 발전에 장애가 되는 측면도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지적이다.정책 자금 출자 사업 중 상당 부분은 지역, 청년, 여성, 사회적 기업 등 ‘공공투자’를 의무화하는 꼬리표를 붙이고 있다. ‘소수의 우수한 운용사’에 자금 투입을

  • 국민연금, 국내 벤처펀드 위탁운용사 IMM SV 등 5곳 선정

    ≪이 기사는 12월04일(17:32)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는 IMM인베스트먼트, SV인베스트먼트, 프리미어파트너스, 케이넷투자파트너스, K2인베스트먼트 등 5개사를 2019년 국내 벤처펀드 위탁운용사로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벤처펀드는 성장성이 높은 스타트업 등의 기업에 투자하는 펀드다. 국민연금은 이번에 선정된 벤처펀드 위탁운용사에 총 2000억원 이내의 자금을 배정할 예정이다.앞서 국민연금은 국내 사모투자 위탁운용사로 6000억원 규모 미드캡 부문은 H&Q, VIG파트너스, SG PE, 프랙시스캐피탈을 선정했다. H&Q, VIG파트너스, SG PE는 2000억원을 제안해 1660억원을 출자받는다. 프랙시스캐피탈은 1200억원을 제안해 1000억원을 출자받는다.4000억원 규모 스페셜 시추에이션 및 디스트레시드(SS&D) 위탁운용사에는 나우IB캐피탈-KB증권(2000억원), 오퍼스PE-NH PE(1000억원), 유진자산운용(1000억원)이 선정됐다.9월 말 현재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자산은 82조6000억원이다. 전체 기금의 11.6%를 차지하고 있다.안효준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장은 “앞으로도 대체투자 확대 등 국민연금 기금의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기금의 장기적 안정성과 수익성 제고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