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년 전 '악재'에 결국…대양제지, 상장폐지 수순 밟는다
1970년 출범한 대양제지는 국내 손꼽히는 골판지 제조 회사 중 하나다. 경기도 안산공장은 연간 42만t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형제사인 신대양제지와 합친 업계 점유율은 20%에 달했다. 하지만 2020년 10월 안산공장에 대형 화재로 인해 초지기 2대가 소실됐다. 초지기는 골판지 원지를 생산하는 기계인데 화재로 소실되면서 정상적인 공장 가동이 어려웠다. 코로나19 대유행으로 택배 수요가 급증해 골판지 업계가 호황이었는데 이 특수를 누려보지 못했다.3년여 고난의 시기를 겪던 대양제지가 결국 상장폐지 수순에 돌입했다. 대양제지는 20일 그룹의 지주사 역할을 하는 신대양제지가 대양제지의 잔여 주식을 모두 취득해 대양제지의 자발적 상장폐지를 신청할 것이라고 공시했다. 공개매수 대상은 대양제지의 최대주주 및 특별관계자가 보유하고 있지 않은 주식 121만 4727주(52억 2332만원·발행 주식의 4.52%)다.매수 기간은 이날부터 다음 달 19일까지다. 매수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 맡았다. 매수 가격은 4300원으로 신대양제지는 매수 응모율에 관계없이 공개매수에 응모한 주식 전부를 매수할 예정이다. 대양제지는 “자진 상장폐지가 진행되더라도 소액주주들은 상장폐지 이후 6개월간 부여되는 장외매수기간 동안 대상회사의 주식을 매도하는 것이 가능하며 해당 기간 동안 공개매수자는 원칙적으로 이번 공개매수와 동일한 가격에 소액주주들이 보유한 주식을 매수할 예정”이라고 전했다.권혁홍 신대양제지 회장은 한국경제신문과의 전화인터뷰에서 "설비투자를 하자니 불경기여서 선뜻 나설 수 없고, 상장 유지를 위해 들어가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며 "우선 상장폐지 후에
-
'골판지 원지 1위' 태림페이퍼 내달 상장
골판지 원지 생산 1위 업체 태림페이퍼가 다음달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토종 앱 마켓 원스토어와 같은 날 일반청약을 시행하게 돼 ‘5월 공모 대전’이 벌어질 전망이다.태림페이퍼는 14일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 절차에 들어갔다. 다음달 9~10일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한다. 일반청약은 12~13일 시행한다. 원스토어는 이날 정정 신고서를 제출하면서 공교롭게 청약 날짜가 겹치게 됐다.태림페이퍼는 이번 상장으로 810만4000주를 공모한다. 희망 공모가격은 1만9000~2만2000원, 시가총액은 6159억~7131억원이다. 공모 금액은 1540억~1783억원이다. 이 중 40%가 구주매출로 이뤄진다. 구주매출은 기존 주주가 주식을 팔아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최대 주주인 세아상역이 보유 주식의 11.8%인 324만2000주를 내놔 616억~713억원을 확보한다. 상장 후 세아상역의 지분율은 85%에서 75%로 낮아지게 된다. 대표 주관사는 신한금융투자와 하나금융투자가 맡았다.전예진 기자
-
태림페이퍼, 원스토어와 동시에 일반청약...5월 공모대전
골판지 원지 생산 1위 업체 태림페이퍼가 다음 달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다. 토종 앱 마켓 원스토어와 같은 날 일반청약을 진행하게 돼 5월 공모 대전이 벌어질 전망이다.태림페이퍼는 14일 금융감독원에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공모 절차에 돌입했다. 다음 달 9일~10일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수요예측을 진행하고 12~13일 일반청약을 실시한다. 원스토어는 이날 정정 신고서를 제출하면서 공교롭게 청약 날짜가 겹치게 됐다.태림페이퍼는 이번 상장으로 810만4000주를 공모한다. 희망 공모가격은 1만9000~2만2000만원, 시가총액은 6159억~7131억원이다. 공모 금액은 1540억~1783억 원이다. 이 중 40%가 구주매출로 이뤄진다. 구주매출은 기존 주주가 주식을 팔아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을 말한다.최대 주주인 세아상역이 보유주식의 11.8%인 324만2000주를 내놓아 616억~713억원을 확보한다. 상장 후 세아상역의 지분율은 85%에서 75%로 낮아지게 된다. 대표 주관회사는 신한금융투자와 하나금융투자가 맡았다.1986년 설립된 태림페이퍼는 골판지 상자 내 원지를 구성하는 표면지, 골심지, 이면지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국내 최대 생산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 1위다.골판지 원지부터 판지, 상자까지 공급망을 수직 계열화해 안정적인 판매채널을 구축했다. 국내 포장업체 시장점유율 1위 기업인 계열사 태림포장을 보유해 원지 생산부터 포장까지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했다.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8889억원으로 전년 대비 19.6% 증가했다. 영업이익도 58.8% 늘어난 1172억 원을 달성했다. 영업이익률은 13.2%로 업계 내 최고 수준이다.태림페이퍼는 친환경 흐름에 맞춰 재생지와 신제품 개발을 추진 중이다. 고재웅 대표는 &ldqu
-
국내 1위 골판지업체 태림페이퍼, 상장예비심사 청구 [마켓인사이트]
≪이 기사는 10월08일(08:1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1위 골판지 생산업체인 태림페이퍼가 본격적인 상장 절차를 밟는다. 2016년 자진해 상장폐지한 지 약 6년 만에 증시에 재입성할 전망이다.8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태림페이퍼는 최근 한국거래소에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심사과정에서 별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면 이르면 오는 12월 중반 상장계획을 승인 받을 전망이다. 상장시기는 내년 초로 예상된다. 신한금융투자와 하나금융투자가 상장 주관을 맡았다.태림페이퍼가 계획대로 상장하면 약 6년 만에 국내 증시에 다시 발을 들이게 된다. 코스닥시장 상장사였던 이 회사는 2016년 자진 상장폐지를 결정했다. 2015년 새 주인이 된 IMM 프라이빗에쿼티(PE)가 다른 주주들이 보유한 태림페이퍼 주식을 모두 사들였다. IMM PE는 그 이후 고배당을 통해 투자금을 지속적으로 회수하다가 2019년 의류 제조업체 세아상역에 태림페이퍼를 매각했다.태림페이퍼는 새 주인을 맞은 후 성장세를 타고 있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7433억원, 순이익은 763억원으로 2019년보다 각각 72.7%, 27.9% 증가했다. 코로나19 발생 후 온라인쇼핑 주문량이 늘면서 택배용 박스 수요가 함께 증가한 것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는 평가다. 지난해 10월 대양제지의 생산공장 화재 이후 골판지 공급 부족현상으로 제품가격이 오르면서 올해도 양호한 실적을 거둘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증권가에선 현재 국내에 상장된 골판지업체들의 주가 수준을 고려하면 태림페이퍼가 상장 과정에서 1조원 이상의 몸값을 인정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신대양제지(8.69배)
-
[단독][마켓인사이트]골판지 1위 태림포장, 세아상역에 팔린다
≪이 기사는 09월17일(17:4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1위 골판지 회사인 태림포장이 국내 의류 제조·판매사 세아상역에 팔린다. 1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대주주인 IMM프라이빗에쿼티(PE)와 매각주관사 모건스탠리는 세아상역을 태림포장 인수를 위한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지난달 27일 실시한 본입찰에는 세아상역 외에 샤닝페이퍼-베인캐피털 컨소시엄과 글로벌 PEF 운용사인 텍사스퍼시픽그룹(TPG) 등이 참여했다. 세아상역은 태림포장과 태림페이퍼의 100% 가치를 약 8000억원으로 평가했다. 세아상역은 전 세계 10개국, 40개 생산공장에서 하루 평균 250만 벌의 의류를 제조하는 국내 회사다. 갭, 유니클로 등에 납품한다. 트루젠, 조이너스, 꼼빠니아 등 자체 브랜드도 갖고 있다. 최근에는 세아STX엔테크(옛 STX중공업 플랜트부문)를 사들이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태림포장 인수전에 뛰어들었다. 한솔제지 등 기존 제지업체가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골판지 업계에 진출한 적은 있지만 비제지업체가 골판지업체에 진출한 건 세아상역이 처음이다.정영효 기자 hugh@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태림포장 인수전에서 한솔제지 빠져
국내 최대 제지회사인 한솔그룹이 국내 1위 골판지 기업 태림포장 인수전에 불참키로 했다. 이에 태림포장 인수전은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텍사스퍼시픽그룹(TPG)과 중국 제지회사 샤닝페이퍼, 국내 의류 제조·판매사 세아상역 등의 3파전으로 압축됐다. 27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대주주인 IMM PE와 매각주관사인 모건스탠리가 이날 시행한 본입찰에 TPG, 샤닝페이퍼, 세아상역 등 3곳이 참여했다. 한솔제지는 이날 공시를 통해 “태림포장 예비인수후보로서 신중한 검토 후에 본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2015년 태림포장을 인수한 IMM은 투자금을 회수(엑시트)하기 위해 태림포장 지분 70.9%와 태림페이퍼 지분 100%를 매물로 내놨다. IMM PE는 태림포장의 가격을 1조원 이상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솔제지는 그룹의 모태인 신문용지업체 전주페이퍼를 되사는데 집중하기 위해 태림포장 인수를 포기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솔은 당초 전주페이퍼와 태림포장을 모두 인수해 성장정체를 극복한다는 계획이었다. 한솔제지는 그룹의 모태인 신문용지 사업부문(현 전주페이퍼)을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 매각했다. 2008년 전주페이퍼를 사들인 모건스탠리 프라이빗에쿼티(PE)는 조만간 매각 작업을 본격화할 전망이다. 태림포장 인수전에 참여한 샤닝페이퍼는 중국 3위 제지업체다. 중국 정부가 원지 수입을 금지하면서 골판지 원료를 확보하기 위해 태림포장 인수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에는 샤닝페이퍼 최고경영자(CEO)가 방한해 태림포장 전국 공장의 생산품목과 생산량 등을 꼼꼼히 확인하기도 했다. TPG의 경우 이상훈 한국 대표와 윤신원
-
[마켓인사이트]태림포장 매각 공식개시‥티저레터 발송
≪이 기사는 04월26일(14:28)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1위 골판지 업체인 태림포장의 매각작업이 공식 시작됐다. 26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대주주인 IMM PE와 매각주관사인 모건스탠리는 이날 태림포장그룹의 매각을 위한 투자안내문(티저레터)을 인수후보자들에게 보냈다. 국내외 동종업계 전략적투자자(SI)와 재무적투자자(FI), 신사업 물색에 나선 대기업들이 대상이다. 태림포장그룹은 골판지를 제조하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태림포장과 골판지 원료(원지)를 제조하는 비상장사 태림페이퍼(옛 동일제지)가 주력이다. IMM PE는 2015년 5월 창업주 정동섭 회장 일가가 보유한 태림포장 지분 58.9%와 동일제지 지분 34.54% 등 태림포장 7개 계열사를 약 3500억원에 인수했다. 지난해 태림포장그룹의 골판지 원지와 상자 시장 점유율은 각각 23%와 18%다. 지난해 태림포장(연결 기준)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6087억원과 357억원을 기록했다. 계열사 전체 매출은 1조1000억원을 웃돈다.모바일과 온라인 쇼핑이 늘어나면서 골판지 상자로 포장하는 택배 수요는 늘어나는 추세다. 태림포장을 누가 인수하느냐에 따라 국내 골판지업계 1위 자리에 오를 수 있다. 한솔제지 아세아제지 신대양제지 등 동종업계가 인수 후보로 거론된다. 동원 등 유통업계는 물론 중국 일본 골판지업체, 국내 사모펀드 등이 눈독을 들이는 이유다.정영효 기자 hugh@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한솔제지, 국내 PEF와 컨소시엄 구성해 태림포장 인수전 나선다
≪이 기사는 03월20일(03:17)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국내 1위 골판지 회사인 태림포장 인수에 나선 한솔그룹이 국내 사모펀드(PEF) 운용사와 컨소시엄을 구성한다. 약점으로 지적된 자금력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서다.20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한솔그룹은 태림포장 인수전에 공동으로 참여할 PEF를 선정하는 막판 작업을 벌이고 있다. 대형 PEF 한 곳을 포함해 국내 PEF 3곳 가운데 한 곳을 골라 컨소시엄을 구성할 계획이다. IB업계 관계자는 “태림포장의 인수가격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PEF가 공동으로 투자할 액수와 지분율 등은 미정”이라고 말했다.한솔그룹 주력 계열사인 한솔제지는 최근 삼성증권을 인수자문사로 선정해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오는 태림포장과 전주페이퍼 인수전에 뛰어들기로 했다. 모태기업을 되찾는 동시에 제지 분야에서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다. 한솔제지는 1965년 삼성그룹이 신문용지업체 새한제지공업을 인수해 사명을 바꾼 전주제지가 모태다. 한솔은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한솔제지 신문용지 사업부문을 매각했다. 전주페이퍼 인수에 성공하면 20여 년 만에 모태기업을
-
[마켓인사이트]삼보판지, 주당 0.1주 무상증자
≪이 기사는 03월11일(14:49)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코스닥시장 상장사 삼보판지가 보통주 1주당 0.1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를 한다. 삼보판지는 11일 이사회를 열고 신주 147만 주를 발행하는 무상증자를 의결했다. 무상증자는발행회사가 주식발행초과금, 재평가적립금 등을 재원 삼아 신주를 발행해 주주들에게 공짜로나눠주는 것이다. 신주는 오는 29일 현재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에게 소유 주식 1주당 0.1003501주를 배정한다. 신주 상장 예정일은 4월24일이다. 회사 관계자는 "회사를 믿고 지지해 준 주주들과 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주식 배당을 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삼보판지는 1973년 3월 설립된 골판지 및 골판지 상자 제조업체다.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5.7% 증가한 3747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은 538억원으로 1년 만에 602.1% 늘어났다. 김병근 기자 bk11@hankyung.com
-
신안피앤씨, 신한은행 보증받아 60억원 조달
골판지 제조업체인 신안피앤씨가 신한은행의 보증을 받아 60억원을 조달했다.8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신안피앤씨는 이날 364일 만기 기업어음(CP) 60억원어치를 발행했다. 2011년 설립된 이후 처음으로 찍은 CP다. 신한은행이 해당 CP에 대해 지급보증을 섰다. 신안피앤씨가 CP를 상환하지 못하면 대신 갚는다는 의미다. 보증 덕분에 이번 CP 신용등급은 신한은행과 똑같은 ‘A1’로 매겨졌다. 7개 단기 투자등급 중 가장 높은 등급이다.신안피앤씨는 골판지 제조업체로 경기도 김포에 본사를 두고 있다. 현재 약 500개 고객사에 제품을 납품하고 있다. 최대주주인 김일영 대표이사가 지분 66.67%를 들고 있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매출은 2161억원으로 전년 대비 % 증가했다. 최근 꾸준히 외형을 키우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영업이익도 2014년부터 매년 100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 지난해 거둔 영업이익은 123억원이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