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급한불 끄자" 신종자본증권 찍는 기업들

    "급한불 끄자" 신종자본증권 찍는 기업들

    재무 안정성이 취약한 기업들이 신종자본증권(영구채) 카드로 급한 불을 끄고 있다. 금융감독원의 규제 강화로 유상증자 등 기존 자금 조달 통로가 막히자 신종자본증권 발행으로 우회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존 공모 회사채 대비 이자 부담이 크다는 지적도 나온다.7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SK이노베이션은 700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복수의 증권사와 논의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이 신종자본증권 카드를 꺼낸 이유는 자회사인 SK온의 차입금 때문이다. SK온은 1분기 공모 회사채를 통해 자금조달을 계획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부채비율 등 재무 상태가 악화한 기업들이 주로 신종자본증권을 찍는다. 신종자본증권은 회계 기준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자본성 증권이다. 발행할수록 회사 자본이 늘어나는 효과가 있다. SK이노베이션 순차입금은 작년 말 기준 31조원으로 부채비율은 178.8% 수준이다. 금융당국은 통상 부채비율이 200%를 웃돌면 재무구조 안전성이 흔들린다고 본다. 증권업계 관계자는 “2차전지 수요 감소인 ‘캐즘’ 현상으로 적자가 지속되면서 차입금 비율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SK온이 직접 자금조달을 받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SK온은 2022년부터 1조원의 유상증자와 2023년 5000억원의 신종자본증권 발행, 1조원의 PRS 계약 등으로 이미 증권사와 사모펀드 운용사(PEF)로부터 수조원대 자금조달을 마친 상황이다. SK이노베이션이 지난달 8000억원의 공모 회사채를 발행한 직후임에도 바로 자금 조달에 나서는 이유이다.2분기 들어 HD현대오일뱅크, 코오롱, CJ CGV, 웅진, 깨끗한나라, 코오롱 등도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결정했다. 이 기업들의 조달 규모는 총 5700억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