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국민연금, 한진칼 '경영참여'에서 손 뗀다…'단순투자'로 변경

    INVESTOR

    국민연금, 한진칼 '경영참여'에서 손 뗀다…'단순투자'로 변경

    국민연금이 한진칼 보유목적을 '경영참여'에서 '단순투자'로 바꾸기로 결정했다. 2019년 한진그룹 총수 일가의 횡령·배임 논란을 계기로 주주제안을 위해 지분보유 목적을 변경한 이후 3년여만이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기금위)는 29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제2차 기금위 회의를 열어 한진칼의 주식 보유목적을 경영참여에서 단순투자로 변경하기로 결의했다. 국민연금은 이달 초 기준 한진칼 지분 4.15%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한진칼의 주주 구성은 △조원태 회장과 특수관계인 20.79% △KCGI 17.27% △반도건설 16.89% △델타항공 13.10% △산업은행 10.50% 등이었지만 지난달 호반건설이 KCGI 보유 지분(당시 17.43%)을 사들이면서 2대 주주로 올라섰다.국민연금은 2019년 2월 총수 일가의 횡령·배임 논란이 있던 한진칼에 대해 주주제안을 실시하기 위해 주식 보유목적을 '경영참여'로 변경했다. 그 해 3월 주주제안은 부결됐지만 기금위의 별도 결정이 없어 현재까지 주식 보유목적이 경영참여로 유지됐다. 기금위는 2020년 6월에도 한진칼의 보유목적 변경을 두고 수탁자책임전문위원회(수책위) 논의 등을 거쳤지만 유지하기로 한 바 있다.국민연금은 투자목적을 '단순투자'로 바꾸면서 주주총회에 참석해 의결권을 행사하는 수준의 기본적인 수탁자책임활동만 하기로 했다. 국민연금이 '일반투자'를 택했다면 회사에 자료 제출 요구와 함께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정관 변경 추진, 회사 임원 위법행위에 대한 해임청구권 행사 등 더 깊은 수준의 주주활동을 할 수 있다. 대표주주소송도 가능해진다.이번 기금위 회의 내에서도 참여연대 등은 일반

  • 사우디 국부펀드, 넥슨 이어 엔씨소프트에도 투자

    M&A

    사우디 국부펀드, 넥슨 이어 엔씨소프트에도 투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가 9일 국내 게임업체 엔씨소프트의 지분 6.69%(146만8845주)를 약 8000억원에 취득하며 엔씨소프트 4대 주주로 올라섰다. 장내 매입을 통해 취득했고 취득 목적은 '단순투자'라고 밝혔다.PIF는 지난 6일 넥슨재팬의 지분 5.02%를 8억89300만달러(약 1조589억원)에 취득하기도 했다. 넥슨재팬의 4대주주로 올라섰지만 당시 취득 목적을 '단순 투자'라고만 했다. 넥슨에 이어 엔씨소프트에도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이날 사우디아라비아 소재의 퍼블릭인베스트먼트펀드는 엔씨소프트 주식 146만8845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한국 내 법률대리인 김앤장을 통해 공시했다. 엔씨소프트 전체 주식의 6.69%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날 종가를 기준으로 한 지분 가치는 약 8000억원에 달한다.퍼블릭인베스트먼트펀드는 사우디아라비아 왕국이 단일 주주로 결성한 국부펀드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넥슨과 캡콤 등 한국과 일본의 유력 게임사 지분을 취득하면서 이름을 알렸다.퍼블릭인베스트먼트는 지난해부터 조금씩 엔씨소프트의 지분을 취득하다가 총 5%를 넘어 이번에 공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최대주주인 김택진 대표(11.9%), 넷마블(8.9%), 국민연금(8.4%)에 이어 4대 주주다.민지혜 기자 spop@hankyung.com 

  • [마켓인사이트]올해 국민연금법 개정 포기한 문재인 정부…국민연금 거버넌스 개혁 사실상 없던 일로

    [마켓인사이트]올해 국민연금법 개정 포기한 문재인 정부…국민연금 거버넌스 개혁 사실상 없던 일로

    ≪이 기사는 10월10일(14:14) 자본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정부가 700조원에 달하는 국민연금기금의 최고의사결정기구인 기금운용위원회(기금위)의 독립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개혁을 사실상 포기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12월이면 ‘총선 모드’에 돌입하는 20대 국회 임기 만료 전 법안 통과가 불가능하다는 판단에서다.이에 따라 국민연금 기금위에서 정부 입김을 최소화하고 전문가들로 기금위를 구성한다던 정부의 계획도 일단 무기한 보류됐다. 지난해 스튜어드십코드(수탁자책임의 원칙)를 도입하며 한진칼에 조양호 회장의 퇴진을 요구하는 등 국내 기업의 거버넌스에 대한 개입을 늘려가고 있는 국민연금이 정작 정작 스스로의 거버넌스 문제는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정부 기금위원들에 "법 개정 어렵다"1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민연금 상위부처인 보건복지부(복지부)는 지난 9월 말 기금위 위원을 대상으로 비공개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보건복지부는 위원들에게 올해 국민연금법 개정이 어려움을 설명하고, 시행령 개정을 통해 기금위 개선안을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정부는 지난해 10월 기금위 회의에서 기금위 운영 개선 방안 초안을 발표했지만 1년 간 특별한 진전을 보이지 않다 지난 9월 초 비공개간담회를 통해 수정안을 내놓은 바 있다. 그러나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이마저도 포기한 셈이다.국민연금법은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기금위와 이를 보좌하는 실무평가위원회(실평위)의 구성과 기능 등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기금위는 위원장인 복지부 장관, 당연직

  • [마켓인사이트] 락앤락 창업주, EDGC 공격적 매수

    [마켓인사이트] 락앤락 창업주, EDGC 공격적 매수

    ▶마켓인사이트 5월 10일 오후 3시40분 김준일 락앤락 전 회장이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바이오기업 EDGC(이원다이애그노믹스) 지분을 연이어 사들이고 있다. 지난달 EDGC 지분 보유 목적을 단순 투자에서 경영 참여로 변경한 그는 꾸준히 EDGC 주식을 매집하고 있어 그 배경에 자본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12일 EDGC에 따르면 김 전 회장은 지난 2일 EDGC 주식 39만7531주(지분율 1.1%)를 장내에서 사들였다. 현재 김 전 회장의 EDGC 지분율은 6.1%다. 최대주주인 이철옥 이원의료재단 이사장(지분율 10.2%)과 한국콜마(8.3%), 관계회사인 다이애그노믹스(6.5%)에 이은 4대 주주다.김 전 회장은 지난달 15일 EDGC 주식 33만6379주(0.9%)를 장내매수했다는 사실을 공시하며 지분 보유 목적도 경영 참여로 변경했다. 최근 한 달여 동안 보유 현금 48억여원을 들여 EDGC 지분율을 2.0%포인트 끌어올렸다.증권업계에서는 재무적 투자자(FI)로 알려졌던 김 전 회장이 EDGC 경영 참여를 선언하며 주식을 장내매수하는 데 대해 ‘예상치 못한 행보’라는 반응이다. 김 전 회장은 EDGC가 코스닥에 상장하기 전인 2017년에 락앤락 매각 자금 중 일부로 알려진 50억원을 투자해 5대 주주가 됐다. EDGC가 증시에 입성한 지 두 달 뒤인 지난해 8월 그가 지분 1.3%를 장내에서 매도하자 FI로 투자금 회수에 나섰다고 보는 의견이 대세를 이루게 됐다. 그러나 김 전 회장이 EDGC의 경영 참여를 선언하면서 향후 김 전 회장이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된다는 평가다.EDGC는 이원의료재단과 미국 다이애그노믹스의 합작회사로 2013년 설립됐다. 임신부의 혈액을 검사해 태아의 유전자 이상 여부를 밝히는 비침습 산전진단검사(NIPT)가 주력 사업이다. 지난해 6월 코스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