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사는 04월 20일 11:00 자본 시장의 혜안 “마켓인사이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2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오는 6월 초 5억달러(약 6100억원) 규모 그린본드를 발행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최근 다수의 외국계 증권사를 주관사로 선정하며 본격적인 발행 준비에 돌입했다. 조만간 해외 투자자들을 상대로 한 기업설명회를 거친 후 수요예측(사전 청약)을 진행할 계획이다. 그린본드는 자금 사용목적이 친환경 사업 관련 투자로만 한정된 채권이다.
한전은 이번 그린본드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을 신재생에너지 설비투자 등에 사용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지난해에도 같은 목적으로 해외 투자자들을 상대로 5억달러어치 그린본드를 발행했다. 그린본드와 소셜본드(사회문제 해결 목적)가 결합된 형태인 지속가능채권(2000억원)도 발행하는 등 최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관련 자금 조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급격히 악화됐던 해외 채권발행여건이 최근 조금씩 회복되는 것을 고려하면 한전이 그린본드 수요를 모으는 데는 큰 어려움이 없을 전망이다. 이달 들어 현대캐피탈아메리카, 산업은행, 신한은행 등이 해외 시장에서 채권 발행에 나서 넉넉한 수요를 모으는 데 성공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여전히 신흥국 채권 투자심리가 가라앉아 있지만 신용도가 우량한 기업들은 평소보다 높은 금리를 제시하면 발행이 성사되는 분위기다. 한전의 글로벌 신용등급은 10개 투자적격등급 중 세 번째로 높은 ‘AA’로 한국 정부와 같다.
다만 실적이 크게 악화된 상황에서도 친환경 투자를 늘리는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전은 정부의 탈(脫) 원전·석탄 정책에 발맞춰 발전단가가 싼 원자력과 석탄 발전소 가동을 줄이고 태양광과 풍력 등 친환경 발전설비 비중을 확대하면서 수익성 악화를 겪고 있다. 발전원가 상승에도 전기요금을 올리지 못하면서 이익이 줄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사업전략이 실적이 추가적인 부담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한전은 지난해 영업손실 1조2765억원을 내며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후 11년 만에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친환경 투자재원 중 상당금액을 금융시장에서 빌리면서 차입 부담도 커졌다. 이 회사의 지난해 말 기준 차입금은 67조9000억원으로 2018년 말(61조원) 이후 1년 만에 7조원 가까이 불어났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도 이 같은 점을 지적하며 지난해 10월 한전의 자체 신용등급을 ‘bbb’에서 ‘bbb-’로 떨어뜨렸다. 정부의 지원 가능성을 배제하면 펀더멘털이 눈에 띄게 약해졌다는 의미다.
김진성 기자 jskim1028@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