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바로가기
  • 인터로조 노시철 회장 “올해 사상 최대 실적…내후년 영업익률 30% 달성”

    인터로조 노시철 회장 “올해 사상 최대 실적…내후년 영업익률 30% 달성”

    "연구개발과 제조 혁신에 꾸준히 재투자해 국내 콘택트렌즈 산업을 대표하는 가치주 기업으로 성장하겠습니다."1년 만에 주식 거래가 재개된 코스닥 상장사 인터로조의 노시철 회장은 13일 "무한한 신뢰를 보내준 투자자들에게 보답하고자 주주환원 정책을 적극적으로 펼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인터로조는 지난해 제조 공장을 한 달 이상 '셧다운'하고 재고 파악에 집중하는 등 감사 의견거절 사유를 해소하는 데 전사적 노력을 기울였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 제조 혁신을 위한 신규 투자도 멈추지 않았다. 이 같은 투 트랙 전략이 주효한 덕분에 거래 재개 첫해인 올해 매출 1350억원, 영업이익 260억원의 사상 최대 실적을 거둘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인터로조는 작년 4월 감사 의견거절로 주식 거래가 정지되는 사상 초유의 사태를 맞았다. 금융투자업계에서 국내 콘택트렌즈 산업을 대표하는 우량 기업이 상장 폐지될 위기에 처했다는 우려가 나왔다. 노 회장은 "경영인으로서 이유를 막론하고 투자자, 고객, 임직원에게 실망을 안겨준 것에 대해 죄책감으로 고통스러웠다"고 돌아봤다. 그러면서 "20년 이상 헌신해온 인터로조 임직원들의 축적된 성과의 결실이 하루아침에 사라질 리 없다고 확신했다"며 "재도약의 기틀을 다지는 한 해를 보냈다"고 덧붙였다.인터로조는 지난 3월 2024년 감사보고서에 대해 적정의견을 받아낸 데 이어 최근 한국거래소로부터 거래 재개 승인을 받아 이날부터 주식 거래가 재개됐다. 1년 만에 거래 재개에 성공한 인터로조는 지금부터 실적 회복 및 성장에 전력투구하겠다는 방침이다. 영업이익률을 매년 5%씩 올려 2027

  • K뷰티 신드롬 타고…렌즈업계, 美·日 공략

    K뷰티 신드롬 타고…렌즈업계, 美·日 공략

    K뷰티 열풍을 타고 국내 미용 렌즈 브랜드가 급성장하고 있다. 기술과 디자인 경쟁력을 기반으로 세계 콘택트렌즈 시장 1, 2위인 미국과 일본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7일 뷰티업계에 따르면 미용 렌즈 브랜드 ‘하파크리스틴’을 운영하는 피피비스튜디오스는 지난해 미국 로스앤젤레스(LA)와 마이애미에 오프라인 매장을 낸 데 이어 뉴욕에도 출점할 계획이다. 컬러·서클렌즈는 통상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수출하는데, 외국인 사이에서 ‘장원영 렌즈’로 입소문이 나 단독 매장을 낼 정도로 현지 판매량이 늘었다.하파크리스틴은 일본에서도 큐텐, 라쿠텐, 아마존 등을 통해 제품을 판매 중이다. 해외 성장세에 힘입어 피피비스튜디오스 매출은 작년 급증한 것으로 추정된다. 2023년 매출도 392억원으로 전년보다 13% 늘었다.피피비스튜디오스뿐 아니라 국내 콘택트렌즈 ‘투톱’인 스타비젼과 인터로조도 해외 영토를 넓히고 있다. 국내 미용 렌즈 점유율 1위인 ‘오렌즈’ 운영사 스타비젼은 일본뿐 아니라 홍콩 대만 등에서도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2위인 인터로조는 2013년 일본 현지 업체와 손잡고 ‘릴문 렌즈’를 선보였는데, K뷰티 열풍이 불면서 지난해 현지 매출이 약 10% 증가했다. 일본은 미용 렌즈 브랜드가 워낙 많아 경쟁이 치열한데 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낸 것이다.‘K뷰티 신드롬’이 화장품을 넘어 렌즈로 확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외에서 ‘한국식 화장법’이 인기를 끌면서 국내 아이돌과 연예인이 사용하는 컬러·서클렌즈에 관심이 커졌다. 업계 관계자는 “남미, 중동 등에서도 K렌즈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ldqu

  • "인터로조, 성장 모멘텀 유효…목표가 상향"

    유안타증권은 26일 인터로조에 대해 성장 모멘텀이 유효하다며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4만15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2분기 매출액은 작년 동기대비 5.9% 증가한 319억원, 영업이익은 24.9% 급증한 89억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권명준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1분기보다 줄어든 매출성장률은 다소 아쉽지만 개선된 영업이익률은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권 연구원은 “자동화 라인으로 구성된 3공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면서 영업이익률 개선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에도 매출 성장과 이익률 개선이 동반될 것”이라고 예상했다.매출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지역은 일본과 유럽이다. 2분기 기준으로 일본은 전년대비 11.3%, 유럽은 19.9% 성장했다. 국가별 고객사 확대와 고객사 내 점유율 확대가 작년부터 이어지고 있다.권 연구원은 “2분기 중국 수출액은 29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00% 이상 성장했다”며 “리오프닝과 더불어 신규 고객사가 늘어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미국 시장 진출도 기대된다. 미국은 글로벌 시장의 30%를 차지하는 가장 큰 시장이다. 권 연구원은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의 FDA 승인을 기다리고 있어 3분기 중 승인 취득 시 연내 초도 매출이 발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장관진 기자 jkjin@hankyung.com

  • 박스권 뚫고 날아오른다…이제는 중소형株의 시간

    박스권 뚫고 날아오른다…이제는 중소형株의 시간

    “세계 각국이 유동성을 회수하고 있기 때문에 지난 2년과 같은 상승장을 기대하긴 어렵다. 실적이 탄탄하고 저평가된 종목을 선별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최근 박스권 장세에 전문가들이 공통으로 조언하는 말이다. 하지만 정보력이 부족한 개인투자자가 개별 종목을 고르는 것은 쉽지 않다. 올해 개인 순매수 상위 종목을 살펴보면 삼성전자 카카오 등 대형주가 압도적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기관과 외국인은 저평가된 종목을 사들이며 상대적으로 나은 성과를 올리고 있다.중소형주를 전문으로 분석하는 스몰캡 애널리스트는 어떤 기업을 유망하다고 보고 있을까. 24일 한국경제신문은 9개 증권사의 스몰캡 애널리스트로부터 올해 주가 재평가 가능성이 높은 중소형주 28개를 추천받았다. 복수 추천받은 인터로조두 곳 이상 증권사가 유망하다고 꼽은 종목은 인터로조가 유일했다. KB증권과 하이투자증권이 추천한 인터로조는 국내 1위 콘택트렌즈 제조업체다. 국내에서 자체 브랜드로 클라렌을 운영하고, 해외 고객사를 대상으로 제조업자개발생산(ODM) 사업을 하고 있다.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수혜와 더불어 신제품 출시, 해외 진출 확대 등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성현동 KB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세계 4대 콘택트렌즈 업체를 신규 ODM 고객사로 확보하면서 해외 매출이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인터로조의 올해 연간 영업이익 컨센서스(증권사 추정치 평균)는 전년 대비 38.7% 증가한 391억원이다. 1개월 전 추정치(371억원) 대비 5.4% 상향 조정됐다.인터로조 외에도 리오프닝 수혜주가 추천 목록에 다수 포

  • “인터로조, 국내외 매출 증가로 1분기 호실적 기대…목표가↑”

    “인터로조, 국내외 매출 증가로 1분기 호실적 기대…목표가↑”

    하나금융투자는 19일 인터로조에 대해 ‘위드 코로나’로 인한 국내외 매출 증가로 올 1분기 호실적을 전망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고, 목표주가는 4만5000원으로 높였다. 최재호 연구원은 “위드 코로나 시대에 미용 제품인 렌즈의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며 “지속적인 신제품 출시로 제품군을 다각화하고 글로벌 신규 고객사도 꾸준히 확보하고 있어,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수출형 기업인 만큼 최근 상승하고 있는 환율도 긍정적으로 봤다.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91억원과 73억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9.6%와 57.8% 증가할 것으로 추산했다.국내는 자체 브랜드인 ‘클라렌’ 등 실리콘 하이드로겔 원데이 제품군의 호실적을 기반으로 전년 동기 대비 7% 증가한 82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해외 매출도 외형 성장을 이끌 것으로 봤다. 일본 매출이 77억원으로 전년 대비 62.3%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일본 협력사인 피아에 공급하는 컬러렌즈의 매출이 안정적으로 느는 한편, 작년에 신규로 확보한 또 다른 협력사 아시아네트워크의 매출이 본격 반영되면서다. 인터로조는 작년 12월부터 일본 협력사인 프롬아이즈에 ‘원데이 클리어렌즈’ 공급도 시작했다. 컬러렌즈 중심이었던 일본으로의 수출 제품군을 다각화하며 인터로조의 매출도 크게 늘 것이란 예상이다. 유럽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3.3% 증가한 56억원을 전망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원데이 제품이 1분기부터 신규로 공급되면서다. 작년 1분기부터 반영되고 있는 알콘 관련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9% 증가한 5억원으로

  • 작지만 강한 리오프닝株…"파마리서치·인터로조 등 주목"

    작지만 강한 리오프닝株…"파마리서치·인터로조 등 주목"

    리오프닝(경제 재개) 수혜주로 파마리서치, 인터로조, 호전실업 등을 눈여겨볼 만하다는 조언이 증권가에서 나온다. 실적이 탄탄하고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부담은 작아 투자 매력이 높다는 분석이다.국내 1위 콘택트렌즈 제조업체인 인터로조는 11일 6.22% 오른 3만3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 회사 주가는 최근 한 달 동안 15.22%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용 의료기기 기업 파마리서치는 13.90% 올랐다. 의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 호전실업은 13.50% 뛰었다. 이들 기업 주가 상승률은 같은 기간 코스피지수 상승률(1.79%)을 웃돌았다.이들 종목은 시가총액 1조원 미만 중소형주면서 리오프닝 수혜주라는 공통점이 있다. 세 업체 모두 올해 연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0~30%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조만간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을 경우 미용과 의류 제품 수요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파마리서치는 피부 재생 성분이 있는 주사제 ‘리쥬란’ 제조업체로 유명하다. 올해 연간 영업이익은 작년 대비 27.3% 증가한 668억원을 낼 것으로 전망된다. 2024년까지 연 20%대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증권사들은 보고 있다.인터로조는 국내 신제품 출시와 해외 진출 확대로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스포츠웨어 OEM 업체 호전실업은 대외활동 증가로 의류 소비가 늘어나며 수혜를 볼 것으로 기대된다. 이 회사는 노스페이스, 언더아머, 애슬레타, 룰루레몬 등 해외 스포츠웨어 브랜드에 제품을 납품한다.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6.8배로 동종업체 대비 저평가됐다는 분석이다.서형교 기자

  • "보복소비 수혜株…파마리서치·인터로조·호전실업 주목"

    STOCK

    "보복소비 수혜株…파마리서치·인터로조·호전실업 주목"

    리오프닝(경제 재개) 수혜주로 파마리서치, 인터로조, 호전실업을 눈여겨볼 만하다는 조언이 증권가에서 나온다. 실적이 탄탄하고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 부담은 작아 투자 매력이 높다는 분석이다.국내 1위 콘택트렌즈 제조업체인 인터로조는 11일 오후 2시 40분 현재 5.42% 오른 3만3050원에 거래중이다. 이 회사 주가는 최근 한 달 동안 13.40% 상승했다. 같은 기간 미용 의료기기 기업 파마리서치는 11.48% 올랐고, 의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 호전실업은 11.88% 상승했다. 이 기간 코스피지수 등락률(1.01%)을 웃돌았다. 이들 기업은 시가총액 1조원 미만 중소형주이면서 리오프닝 수혜주라는 공통점이 있다. 세 업체 모두 올해 연간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20~30%가량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상헌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조만간 실외에서 마스크를 벗을 경우 미용 제품과 서비스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야외 활동 증가로 의류 제품에 대한 수요도 살아날 것”이라고 말했다.파마리서치는 피부 재생 성분이 있는 주사제 ‘리쥬란’ 제조업체로 유명하다. 작년 10월 출시한 ‘리쥬란 HB Plus’가 올해 실적 개선을 이끌 것이라는 전망이다. 리쥬란 HB Plus는 기존 제품 대비 통증을 줄이고 효과를 높인 제품이다.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파마리서치의 연간 영업이익은 작년 대비 27.3% 증가한 668억원으로 추정된다. 내년과 2024년까지 연 20%대의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증권사들은 보고 있다. 영업이익률도 작년 34.1%에서 올해 36.7%, 내년에는 37.7%로 높아질 전망이다. 12개월 선행 주가수익비율(PER)은 16.9배로 다른 리오프닝 수혜주와 비교할 때 낮

  • “인터로조, 3분기 호실적 기대…하반기 성장세 돋보일 것”

    “인터로조, 3분기 호실적 기대…하반기 성장세 돋보일 것”

    대신증권은 14일 인터로조에 대해 올 3·4분기에 호실적을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내년에도 해외 신규 거래처 공급 확대 등으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봤다.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3만6000원을 유지했다.인터로조의 3분기 실적은 매출 316억원, 영업이익 83억원으로 추산했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56.3%와 130.1% 늘 것이란 예상이다. 영업이익률은 26.3%로, 작년 3분기에 비해 8.4%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추정했다.한경래 연구원은 “직전 추정 매출 298억원, 영업이익 78억원을 웃도는 호실적을 기대한다”며 “3분기 실적 증가는 우호적인 환율 효과와 국내, 일본, 알콘사 매출이 2분기 대비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4분기에도 호실적을 낼 것으로 봤다. 한 연구원은 “4분기엔 분기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률을 기록할 것”이라며 “인터로조의 올 하반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295% 늘어날 것”으로고 예상했다. 상반기에 비해 외형이 확대되면서 고정비가 효율화되고, 달러 강세로 매분기 이익률 개선이 가능할 것이란 판단이다. 그는 “하반기에는 외형 성장과 분기별 판관비가 70억원 내외로 집행되면서, 영업이익 지렛대(레버리지) 효과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했다.이어 “작년 4분기는 환율 영향으로 손익분기점(BEP) 수준을 기록한 반면, 올 4분기는 분기 최대 매출 및 영업이익이 가능할 것”이라고 추정했다.내년에는 일본(아시아네트워크) 프랑스(Ophtalmic) 스페인(Mark’ennovy) 등 신규 거래처의 공급 확대로 높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일본 ‘원데이 클리어’ 렌즈 매출은 연간 80억원 이상을 낼 것으로 예상했다.&

  •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시장서 성장성·수익성 확보”

    STOCK

    “인터로조, 콘택트렌즈 시장서 성장성·수익성 확보”

    유안타증권은 5일 인터로조에 대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콘택트렌즈 제조·판매 기업으로, 성장성과 수익성을 모두 확보했다고 평가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과거에는 콘택트렌즈를 단순 시력교정 목적으로 착용했지만, 현재는 미용이나 건강관리(헬스케어) 영역으로 착용 목적이 확대되고 있다. 허선재 연구원은 “인터로조는 이 같은 변화에 따른 수혜를 누릴 수 있는 콘택트렌즈 제조·판매 기업”이라고 판단했다.인터로조는 폭 넓은 제품군(포트폴리오)과 해외 고객사를 기반으로, 자체 브랜드 ‘클라렌’과 해외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및 제조자개발생산(ODM) 사업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해외 매출 비중은 70%에 달한다. 작년 기준 지역별 매출 비중은 국내 30%, 일본 32%, 유럽 19%, 기타 19%다.탄탄한 단기·중장기 성장동력(모멘텀)도 갖고 있다고 봤다. 인터로조는 일본과 유럽 등에서 제품군과 고객사를 확대하고 있다. 일본에서는 피아에 대해 ODM 물량을 늘리고, 신규 고객사(AsiaNetwork)를 확보했다. 유럽에는 ‘Si-Hy’ 렌즈 공급을 본격화하면서, 프랑스 스페인 등에서도 신규 고객사를 확보했다. 국내에서는 업계 최초로 ‘Si-Hy’ 뷰티렌즈를 출시했다. 아시아에서는 알콘(Alcon)과 뷰티렌즈 공급 계약을 맺었다.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도 진출한다. 허 연구원은 “인터로조는 녹내장·당뇨 등을 진단할 수 있는 스마트 렌즈를 개발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할 것“이라고 했다.콘택트렌즈 시장의 구조적인 성장도 기대했다. 허 연구원은 “콘텍트렌즈 시장은 작년 74억달러 규모에서 2025년 102억달러